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지여
read 3611 vote 0 2011.02.12 (11:49:47)

명박이 " 공정사회  운운 "  립서비스 하니까  마이클 샌달 의 '정의란 무엇인가'  방송 후 베스트셀러

우연인가?    의도가 보인다.  존 롤즈 의 정의론 읽어 볼 필요 있다. 

 

노무현의 작은비석의 글 " 민주주의의 최후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 

 넓게는 구조론의  세력에 관련되어 있고.

좁게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연계되어 있다 (물론 더 넓게는 동양의 것을 훔쳐간 독일의 실존철학 .....  

중국과 인도의 만남=선불교  ... 하이데거 헤르만 헤세 .....)

 

공리론 - 벤담 - 결과론 - .....   마이클 샌달 ,, 

동기론 ...  칸트...   니체  ...  존 롤즈

--------------------------------------------

 

미스코리아 와 유명여가수 개인에게 참 미안했던 일이지만

오.. 백..  비디오 사건이 대한민국 인터넷초고속 통신망이 초단기에 급속도로  확대된 직접이유이었고...

 노무현 당선에 인터넷이 일등공신인 (구조?) 역설의 불편(?) 한 진실 ...

 

화이자를 살린 비아그라가 심장병신약개발중  부작용으로 대박이 난 것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역설(사실은 역설이 아닌 당연히 그렇게 세팅되어 있는...)에서

 

고정관념  사람에 대한 선입관  지식에 대한 편견....   정신 차려야 ...  알아채려야....

 

박인환의 시 가 생각난다 

 "인생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 (= 존엄) 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있어.....

    ....................................

 

   눈을 뜨고.. 한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

-------------------------------------------

 

구조론 126 ~ 127 쪽

 

세상 모든 것을 다 의심해도  광원 - 빛 - 바늘 - 스크린 - 그람자로 전개되는 메카니즘 자체는 의심할 수 없다

보이는 것이 다 가짜라 해도 그 가짜를 연출하는 마술사는 진짜다. 진짜는 어딘가에 있다  

 

 

 

 


[레벨:12]부하지하

2011.02.12 (14:51:02)

 가짜라는건 존재와 인식의 괴리. 이름 붙은 모든것이 가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181
1075 중국의 역사 김동렬 2015-11-14 4296
1074 맹자의 가르침 image 2 김동렬 2015-11-11 4277
1073 구조론 명언들 1 눈내리는 마을 2015-11-10 3330
1072 생각의 정석 100회 특집 4 냥모 2015-11-08 3248
1071 검파형 암각화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15-11-04 6331
1070 생각의 정석 99회 오세 2015-11-01 3148
1069 인센티브 효과없다. image 3 김동렬 2015-10-27 4890
1068 생각의 정석 98회 5 오세 2015-10-25 3264
1067 상대성이론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10-22 4514
1066 Design Thinking과 구조론 2 ahmoo 2015-10-22 3981
1065 이것이 거북선이다. image 김동렬 2015-10-19 6547
1064 거북선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5-10-17 8663
1063 생각의 정석 97회 오세 2015-10-17 2984
1062 한국인, 당신들은 누구인가? 1 김동렬 2015-10-16 4283
1061 전치사 혼 안 내기 image 4 김동렬 2015-10-15 8386
1060 [시론담론] 예술적 사고를 통한 혁신의 방법론 image 2 ahmoo 2015-10-13 3486
1059 생각의 정석 96회 1 오세 2015-10-11 3182
1058 생각의 정석 95회 오세 2015-10-06 3225
1057 푸틴의 승리 1 김동렬 2015-10-05 4175
1056 김성근의 한계와 미래 1 김동렬 2015-10-05 3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