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037 vote 0 2022.11.27 (19:00:16)

    모든 것은 존재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존재라는 것은 수상쩍기 이를 데 없는 개념이다.
    한자로는 유有, 존存, 재在가 있고 영어로는 being과 existence가 있지만 어느 쪽이든 거시기와 비슷하다.
    그것을 직접 가리키지 않는다.
    존재는 관측자인 인간에 대한 말이다.
    주체의 맞은 편에 서 있는 객체가 존재다.
    남편이나 아내와 같다.
    남자가 스스로 자신을 남편이라고 부르거나 여자가 자신을 아내라고 부르는 일은 없다.
    부인이 유명인이면 아무개의 남편이라고 부르는게 더 빠를 때가 있지만 꼼수다.
    존재는 인간의 파트너다.
    인간을 배제하고 존재를 독립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물리적 실재physical reality다.
    물리적 실재는 무엇인가?
    모른다.
    원자론이 알려져 있지만 꼼수다.
    존재가 원자로 되어 있으면 편하긴 하지만 신이 인간을 위해 특별히 삽질을 베풀겠는가?
    신이 인간 따위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억지로 원자를 만들거나 하지는 않는다.
    300가지도 넘는 종류의 소립자과 그것을 연출하는 17가지 기본입자가 알려져 있지만 궁극적인 단계는 알 수 없다.
    초끈이론이 소립자 그 너머를 다루지만 원자론과 접근방식이 같다.
    원자론이 맞다고 치면 계산이 잘 들어맞는다.
    칼로릭이 있다고 치면 계산이 잘 들어맞는다.
    플로지스톤이 있다고 치면 계산이 잘 들어맞는다.
    에테르가 있다고 치면 직관적으로 이해가 쉽다.
    초끈이론이 맞다고 치면 왠지 뭔가 우주의 비밀을 알아낸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과학을 기분으로 하면 안 된다.
    원자개념은 인간의 편의를 위한 억지에 불과하다.
    과학에는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거짓말 살짝 섞어서 이야기하는 경우는 많다.
    우리가 물질이라고 부르는 것은 자연에서 안정적인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결국 우주는 궁극적으로 밸런스의 안정과 불안정이 있을 뿐이다.
    그 너머는 모른다.
    어쨌든 우리는 하나를 건졌다.
    결국 정답은 밸런스라는 것이다.
    안정적인 상태가 있는 것이다.
    존재는 안정된 것이며 판을 흔들면 언제든지 깨질 수 있다.
    17가지 기본입자도 그러한 성질에 의해 안정되었다는 것이며 결국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존재는 불안정하며 거기세 성질이 덧붙여졌을 때 안정된다.
    팽이는 놔두면 자빠지지만 채찍으로 살살 쳐주면 자빠지지 않는다.

    자전거 페달을 밟지 않으면 쓰러진다.
    연은 놔두면 땅에 떨어지지만 적절히 얼레를 감아주는 기술을 구사하면 공중에 높이 띄울 수 있다.

    바람의 방향을 읽고 연을 날려야 하는데 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연을 못 날리는 사람은 보라매 공원 잔디광장 서쪽의 바람이 불지 않는 나무 밑에서 죽을 쑤고 있고 연을 잘 날리는 사람은 동쪽에서 빌딩풍을 이용한다.

    연을 잘 날리는 사람을 뒤에서 구경하면서 남의 연은 잘도 나는데 내 연은 왜 날지 않는지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 인간은 원래 생각을 하지 않는다.
    우리가 아는 존재는 가만 놔두면 결국 깨지게 되어 있는 잠정적인 것이다.
    팽이가 돌고, 새가 날고, 자전거가 달리고, 물고기가 헤엄치듯이 성질에 의해서만 안정을 유지한다.

    거꾸로 생각해야 한다.

    존재가 성질을 가진 것이 아니라 성질에 의해서 겨우 존재된다.

    성질은 수학이다.

    존재는 수학에 의해 지탱되어 아슬아슬하게 턱걸이로 매달려 있다.
    결국 우주의 근본은 불안정이다.
    그것은 변화다.
    우주에 오직 변화가 있을 뿐이다.
    마이너스에 마이너스를 곱하면 플러스가 되듯이 변화와 변화가 만나면 안정된다.
    그러나 언제든 본래의 불안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
    우리는 물리적 실재에 대한 사유를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존재는 겨우 존재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004 전부 연결되어 있음 김동렬 2024-09-08 5478
7003 0의 완성 김동렬 2024-09-08 4910
7002 구조의 눈 김동렬 2024-09-07 4892
7001 권력과 현찰 1 김동렬 2024-09-06 4649
7000 인간과 비인간의 차이 1 김동렬 2024-09-06 4648
6999 방향전환을 못한다 김동렬 2024-09-05 4793
6998 친일파는 친일파가 아니다 김동렬 2024-09-05 4453
6997 뒤늦게 문까 1 김동렬 2024-09-04 5128
6996 이승만과 박정희의 말로 김동렬 2024-09-03 4728
6995 구조론의 발견 김동렬 2024-09-02 9998
6994 구조론은 쉽다 7 김동렬 2024-09-02 4494
6993 교육만능주의 질병에 대한 고찰 김동렬 2024-09-01 5435
6992 살아가는 이유 김동렬 2024-09-01 4545
6991 직관으로 판단하기 김동렬 2024-08-31 5411
6990 정치와 전쟁 김동렬 2024-08-31 4429
6989 방시혁과 민희진의 대화불통 김동렬 2024-08-30 4537
6988 왜 사는가? 김동렬 2024-08-29 4856
6987 무와 유의 차이 김동렬 2024-08-28 4078
6986 어리석은 방시혁 김동렬 2024-08-28 4608
6985 일본인의 왜소지향 한국인의 감성지향 1 김동렬 2024-08-27 4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