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41 vote 0 2022.11.11 (11:18:53)

    구조론은 힘의 과학이다.
    존재는 내부에 상호작용을 품은 계다.
    힘은 밸런스의 붕괴에 따른 상호작용 형태의 변화다.
    힘의 의미는 상호작용의 밸런스에 숨어 있다가 갑자기 나타나는데 있다.
    힘은 언밸런스에 의해 격발되고 더 낮은 단계의 밸런스에서 멈춘다.
    변화가 일어날 때 계는 질, 입자, 힘, 운동, 량, 순서로 밸런스 단위가 작아진다.
    힘은 상호작용에 의한 랠리의 파동이 작아진 만큼 빨라지는 각운동량 보존이다.
   
    힘은 만유의 조절장치다.
    힘은 전체의 자원을 한 지점에 몰아준다.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는 힘의 성질이 권력으로 나타난다.
    힘의 몰아주고 대표하는 성질에 의해 차별이 일어난다.
    힘의 크기는 평등에 비례한다.
    평등힘은 내부에 저장되고 차별힘을 외부에 소비된다.
    계는 내부로 평등하고 외부로 차별한다.
    의사결정 단위를 좁게 잡고 내부를 외부라고 주장하는게 인간의 오류다.
    평등과 차별은 동전의 양면이므로 닫힌계 안에서는 답이 없다.
    외부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열린계의 다양성으로 문제가 해결된다.
    고립된 곳에서 자체적으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다.
    계가 계속 성장하는 동안만 문제가 해결된다.
   
    힘의 매력은 자발성에 있다.
    자발성은 방향성과 통제가능성에 의해 뒷받침된다.
    힘이 상호작용계 내부 밸런스에서 나오는 것이 자발성이다.
    밸런스가 마이너스 한 방향으로만 조절되는 것이 방향성이다.
    경로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통제가능성이다.
   
    힘의 근원은 밸런스의 복원력이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이 상호작용계 내부에서 작동하는 것이 복원력이다.
    무너진 밸런스는 원상복구되지 않고 낮은 단계에서 복원되므로 추적된다.
    문명의 요체는 힘을 다루는 기술의 진보에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815
6141 미인계 하다가 망한 정의당 김동렬 2022-09-20 2539
6140 구조론의 출발점 김동렬 2020-04-23 2541
6139 대칭과 비대칭 1 김동렬 2020-03-01 2542
6138 젤렌스키와 푸틴 김동렬 2022-04-10 2542
6137 힘의 매력 김동렬 2022-11-07 2542
6136 인과법칙과 본말법칙 김동렬 2022-03-01 2546
6135 마크 저커버그 승 일론 머스크 패 김동렬 2023-07-13 2546
6134 아베의 죽음 1 김동렬 2022-07-09 2547
6133 일원론으로 바라보라 김동렬 2020-09-03 2552
6132 사람을 사냥하는 진중권들 김동렬 2022-04-17 2552
6131 여혐과 혐한 김동렬 2022-10-10 2553
6130 개인주의 시대의 세대전쟁 3 김동렬 2022-06-27 2555
6129 방향성과 차원 1 김동렬 2020-02-28 2556
6128 인간의 권력의지 김동렬 2021-03-17 2557
6127 개구리 소년 의혹 image 김동렬 2022-06-19 2561
6126 인문학의 맹점 1 김동렬 2023-01-05 2561
6125 도구를 다루는 것이 철학이다 2 김동렬 2020-08-26 2564
6124 연역과 귀납 1 김동렬 2021-05-05 2564
6123 한국은 희망이 없다 김동렬 2023-03-19 2565
6122 변화 질서 전략 김동렬 2020-12-01 2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