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22 vote 1 2022.10.26 (15:44:43)


    철학은 변화를 해명한다. 환경 속에 내던져진 인간은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해야 한다. 변화를 추적하는 도구는 인과율이다. 사건을 구성하는 원인과 결과의 대칭성으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원인과 결과의 대칭성은 각운동량 보존을 따른다. 변화는 공간의 거리가 시간의 속도에 숨는 것이다.


    변화의 원인을 통제하여 결과를 유도하는 것이 권력이다. 권력은 거리를 좁혀서 속도를 얻는다. 권력의 근거는 둘이 공존할 때 일어나는 간섭이다. 집단 속의 간섭을 조절하여 변화의 내용을 결정하는 것이 권력이다. 자연의 기세든 시장의 이윤이든 권력의 변종이다.


    원인을 알려면 내부를 봐야 한다. 원인은 권력이고, 권력은 간섭을 통제하고, 간섭은 집단 내부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내부에서 일어나는 간섭이 구조다. 구조는 얽힘이고 얽히면 간섭한다.


    원인은 언제나 내부에 있다. 한자라도 원인의 인因은 사각형 내부에 갇혀 있다. 마르크스 이래 서양철학은 외부를 바라보는 남탓에 매몰되어 있다. 이게 다 귀족 때문이라거나 이게 다 부르주아 때문이라거나 하는 식이다. 그게 유아적인 남탓행동이다. 중학생이라면 이 정도는 극복해야 한다.


    원인을 밖에서 찾는 서양철학의 오류가 자연과 인간을 이항대립으로 놓는 전통적인 세계관 때문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신유물론이다. 뿌리를 찾자면 세상을 선과 악의 다툼으로 보는 조로아스터교의 이분법이 기독교에 수입되어 하느님과 사탄의 대립으로 복제된 것이다.


    근대철학으로 구조주의가 알려져 있지만 인류학자와 언어학자의 소박한 웅성거림에 불과하다. 서양철학은 여전히 마르크스주의 이항대립 틀을 벗어나지 못한다. 서구 구조주의 사상에 구조가 없다. 개인의 에세이를 철학으로 포장한다면 넌센스지만, 이분법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구조에 눈길을 준 점은 평가할 수 있다.


    21세기의 신유물론은 이항대립적 세계관을 극복하려고 시도하는 점에서 진일보했지만, 유물론의 한계를 극복하지는 못했다. 유물론이든 유심론이든 그게 조로아스트교 변종이다.


    알아야 한다. 모든 원인은 내부에 있다. 내부에 거리를 속도로 바꾸는 권력이 있다. 권력은 거리를 조절하여 결과를 유도한다. 모든 갈등은 강자와 약자, 부자와 빈자, 다수자와 소수자, 남자와 여자 간의 거리조절 문제다. 


    자전거의 기어 단수 변화와 같다. 거리를 속도로 바꿀 뿐 그 역은 없다는 점에서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이항대립은 없다. 빅뱅 이후 우주는 궁극적으로 비대칭이다. 닫힌계 안에서 권력은 일방향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7248
6224 충청도 죽이기 김동렬 2023-07-16 2452
6223 구조론은 사건의 원자론이다 1 김동렬 2020-01-06 2453
6222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것 김동렬 2022-02-18 2454
6221 박원순 죽인 진중권들 image 김동렬 2022-10-18 2456
6220 구조와 자연 3 김동렬 2019-11-07 2457
6219 세상을 이해하자 김동렬 2022-05-26 2459
6218 윤석열의 점령군 정치 김동렬 2023-07-17 2459
6217 30퍼센트 정권은 뭐를 해도 비정상 김동렬 2023-09-10 2460
6216 오은영 원리주의 리스크 김동렬 2023-07-21 2461
6215 위기의 본질 김동렬 2022-05-15 2462
6214 벤투축구의 수수께끼 김동렬 2022-11-29 2462
6213 부름과 응답 김동렬 2023-07-13 2462
6212 플라잉카의 마이너스 1 김동렬 2019-11-18 2463
6211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1-12-02 2463
6210 의리 권력 동원 사회 1 김동렬 2021-11-27 2465
6209 양향자의 배신 1 김동렬 2022-04-27 2465
6208 넌센스 정국 2 김동렬 2022-05-22 2466
6207 원론과 공자 합리주의 김동렬 2022-12-26 2468
6206 구조론과 철학 1 김동렬 2020-08-25 2471
6205 모든 이론의 이론 김동렬 2023-05-14 2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