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55 vote 1 2022.10.26 (15:44:43)


    철학은 변화를 해명한다. 환경 속에 내던져진 인간은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해야 한다. 변화를 추적하는 도구는 인과율이다. 사건을 구성하는 원인과 결과의 대칭성으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원인과 결과의 대칭성은 각운동량 보존을 따른다. 변화는 공간의 거리가 시간의 속도에 숨는 것이다.


    변화의 원인을 통제하여 결과를 유도하는 것이 권력이다. 권력은 거리를 좁혀서 속도를 얻는다. 권력의 근거는 둘이 공존할 때 일어나는 간섭이다. 집단 속의 간섭을 조절하여 변화의 내용을 결정하는 것이 권력이다. 자연의 기세든 시장의 이윤이든 권력의 변종이다.


    원인을 알려면 내부를 봐야 한다. 원인은 권력이고, 권력은 간섭을 통제하고, 간섭은 집단 내부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내부에서 일어나는 간섭이 구조다. 구조는 얽힘이고 얽히면 간섭한다.


    원인은 언제나 내부에 있다. 한자라도 원인의 인因은 사각형 내부에 갇혀 있다. 마르크스 이래 서양철학은 외부를 바라보는 남탓에 매몰되어 있다. 이게 다 귀족 때문이라거나 이게 다 부르주아 때문이라거나 하는 식이다. 그게 유아적인 남탓행동이다. 중학생이라면 이 정도는 극복해야 한다.


    원인을 밖에서 찾는 서양철학의 오류가 자연과 인간을 이항대립으로 놓는 전통적인 세계관 때문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신유물론이다. 뿌리를 찾자면 세상을 선과 악의 다툼으로 보는 조로아스터교의 이분법이 기독교에 수입되어 하느님과 사탄의 대립으로 복제된 것이다.


    근대철학으로 구조주의가 알려져 있지만 인류학자와 언어학자의 소박한 웅성거림에 불과하다. 서양철학은 여전히 마르크스주의 이항대립 틀을 벗어나지 못한다. 서구 구조주의 사상에 구조가 없다. 개인의 에세이를 철학으로 포장한다면 넌센스지만, 이분법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구조에 눈길을 준 점은 평가할 수 있다.


    21세기의 신유물론은 이항대립적 세계관을 극복하려고 시도하는 점에서 진일보했지만, 유물론의 한계를 극복하지는 못했다. 유물론이든 유심론이든 그게 조로아스트교 변종이다.


    알아야 한다. 모든 원인은 내부에 있다. 내부에 거리를 속도로 바꾸는 권력이 있다. 권력은 거리를 조절하여 결과를 유도한다. 모든 갈등은 강자와 약자, 부자와 빈자, 다수자와 소수자, 남자와 여자 간의 거리조절 문제다. 


    자전거의 기어 단수 변화와 같다. 거리를 속도로 바꿀 뿐 그 역은 없다는 점에서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이항대립은 없다. 빅뱅 이후 우주는 궁극적으로 비대칭이다. 닫힌계 안에서 권력은 일방향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256 논쟁의 종결자 김동렬 2023-03-21 2363
6255 한국인의 지적 허영심과 오펜하이머 김동렬 2023-08-18 2363
6254 나라 망했다 유시민 3 김동렬 2023-08-11 2364
6253 예뻐지고 싶다는 거짓말 김동렬 2024-01-30 2364
6252 예수의 의미 김동렬 2023-12-26 2367
6251 변화를 보는 눈 김동렬 2023-11-01 2368
6250 원삼국의 문제 김동렬 2021-12-11 2369
6249 의리 권력 동원 사회 1 김동렬 2021-11-27 2370
6248 3의 발견 김동렬 2022-07-15 2370
6247 신의 입장 김동렬 2023-05-08 2371
6246 무속인 쿠데타 빨갱이 김동렬 2023-10-31 2371
6245 인간의 길(업데이트) 김동렬 2022-02-16 2372
6244 신데렐라 이야기 1 김동렬 2022-12-21 2373
6243 제주도사람과 호남사람 김동렬 2023-02-26 2374
6242 인류문명의 맹점 김동렬 2022-02-07 2375
6241 삼국지 인물론 김동렬 2023-11-01 2376
6240 검수완박 대환영 윤석열 1 김동렬 2022-04-20 2379
6239 차원 5의 의미 김동렬 2020-04-25 2380
6238 감각과 예측 김동렬 2023-12-30 2380
6237 플라톤의 동굴 image 1 김동렬 2022-06-18 2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