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29 vote 1 2022.10.14 (20:40:33)

    지식인은 감추어진 부분을 알아내야 한다. 부분을 보고 전체를 알아내야 한다. 원인을 보고 결과를 알아야 한다. 과거를 보고 미래를 알아야 한다. 


    알 수 있는 부분도 있고 알 수 없는 부분도 있다. 알 수 있는 부분은 절대성이요, 알 수 없는 부분은 상대성이다. 알 수 있는 부분과 알 수 없는 부분이 섞여 있는게 보통이다. 그렇다면 알 수 있는 부분만 추려야 한다. 


    문제는 알고자 하는가이다. 모르고자 하는 태도가 문제다. 상대주의를 강조하는 자는 모르고자 하는 자다. 그런 자와는 대화할 수 없다.


    1은 알 수 있다. 아무데나 대충 찍어도 1이다. 2도 알 수 있다. 역시 아무데나 찍어도 2다. 단, 다음에 올 3을 배려해서 신중하게 찍어야 한다. 3은 알 수 없다. 아무데나 찍을 수 없다. 1과 2의 간격을 재서 2와 3의 간격을 맞춰야 한다. 2가 1의 오른쪽에 있다면 3은 2의 오른쪽에 찍을 수 있다.


    뭔가 복잡해지는 것은 3부터다. 1과 2는 쉽다.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어려운 것은 상대적인 것이다. 우리는 쉬운 절대성에 의지해야 한다. 절대성은 쉽기 때문에 누구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의지가 된다. 


    해는 누구나 찾을 수 있으므로 의지가 된다. 달은 조금 어렵지만 초승달이든 반달이든 기다리면 뜨기는 뜬다. 별은 찾기 어렵다.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은 변화다. 변화는 3에서 일어난다. 1은 주어, 2는 목적어, 3은 동사다. 변화는 동사에서 일어난다. 1과 2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절대적이다. 동사는 움직이고 움직이면 상대적이다. 


    1의 궁수가 2의 활을 쏘았는데 3의 사슴에 맞느냐 맞지 않느냐는 그 사슴이 도망치느냐 제자리에 머물러 있느냐에 달려 있다. 상대적이다. 


    상대성은 3이다. 1과 2는 절대적이다. 1은 절대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대가 없기 때문이다. 2는 대칭이고 1은 무대칭이다. 그러므로 1은 절대도 아니고 상대도 아니고 완전성이다. 2는 절대적이고 3은 상대적이다.


    1은 대칭이 없고 2는 1과 대칭된다. 그 대칭은 절대성을 가진다. 왜냐하면 1과 2를 연결하는 라인은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그 라인을 끊을 수 없다. 대칭으로 보면 1은 0이고 2에 이르러 대칭 1이 완성되며 3에 이르러 대칭 2가 완성된다. 대칭이 둘이므로 상대적이다.

   

    상대든 절대든 만나야 한다. 어떤 둘의 만남은 절대다. 만나서 이루어지는가는 상대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고 말했다. 존재가 1, 나는 2, 생각은 3이다. 존재와 나 사이의 =를 나와 생각 사이의 =로 복제한 것이다. 1과 2 사이의 거리를 2와 3 사이의 거리로 복제하듯이 말이다. 


    존재 안에 내가 있고 내 안에 생각이 있다. 생각은 상대적이고 나는 절대적이며 존재는 완전하다. 


[레벨:30]솔숲길

2022.10.16 (22:37:30)

1은 절대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대가 없기 때문이다. => 대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76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41
6479 일단은 노무현의 패배다. image 김동렬 2003-09-03 16708
6478 Re.. 서프라이즈에도 올리지..참 그 날자는 언제? 김동렬 2002-11-26 16697
6477 [속보] 김영삼씨, 조선일보에 선전포고!!! image 김동렬 2003-06-13 16691
6476 정몽준 베이스캠프 철수하려나? image 김동렬 2002-10-23 16689
6475 인생의 정답 image 6 김동렬 2012-02-05 16688
6474 사설강원을 오픈합니다. 김동렬 2006-05-26 16680
6473 수동식 휴대폰 충전기 image 김동렬 2003-05-01 16680
6472 1에 2를 넣는 다섯 가지 방법 image 김동렬 2011-06-23 16676
6471 김정일, 올해를 무사히 넘길 것인가? 김동렬 2006-07-05 16673
6470 3시 현재 2프로 앞서고 있음, 김동렬 2002-12-19 16669
6469 구조적 관점 김동렬 2010-11-12 16666
6468 노무현 대통령은 왜? 김동렬 2007-09-13 16665
6467 학문의 역사를 내면서 김동렬 2007-09-11 16660
6466 박상천체제 출범 감축드리옵니다. image 김동렬 2003-09-22 16660
6465 이해찬으로 한번 싸워보자! 김동렬 2004-06-08 16658
6464 인생의 롤러코스터 image 김동렬 2011-07-19 16654
6463 추미애 오판하다 image 김동렬 2003-04-28 16643
6462 학문의 역사 - 서구의 남성성과 동양의 여성성 김동렬 2006-01-23 16640
6461 이회창이 보는 대선 한표의 가격은 무림거사 2002-12-08 16637
6460 잡다한 이야기 김동렬 2009-09-14 16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