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0]dksnow
read 3237 vote 0 2022.09.29 (10:08:03)

* 1948년도 영국위주의 세계국경선 그려짐.

* 냉전이 가시화되었고, 영국을 계승한 미국이, 또다른 승전국 소련과 대치

* 1970년대 러시아산 유태인 뉴욕 맨허턴에 정착한 키신저 가문이 워싱턴디씨에 등장

* 핑퐁외교로, 중국과 소련의 갈등은, 미국의 승리로 견인 (featuring 80년대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건)

* 80년대 플라자 합의로 일본을 미국이 조졌고,

* 90년대에는, 무자비한 과즙짜기 실현. 세계는 하나의 공장으로 작동함 (미국-서유럽-----일본/한국----중국 하청체제)

* 2000년대 초반 IT 버블

* 2001년 911 테러!

* 2000년대 후반 IT거품 붕괴

* 2010년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붕괴 (미국은 이때 한번 붕괴했음, 지금도, 의료와 노인/이민 문제로 골머리)

* 2010년대 후반, 연준의장 버냉키의 달러 찍기.

* 살아나던 경제는 2020년대의 코로나 경제 꺾기.

* Inflation Reduction Act라는 희대의 법률제정과 연준의 이자율 상승, 거기다, 러-우 전쟁 유럽 불안.


[레벨:30]스마일

2022.10.03 (19:02:58)

2016년 글로벌화에서 자국이기주의로 돌아선해.
영국 브렉시트와 트럼프 당선이 자국우선주의로 돌아서게 했음. 트럼프의 출현을 희화하면서 우습게 봤지만 트럼프는 당선됐고 세계는 탈글로벌주의로 가고 있음. 2016년은 글로벌주의가 막을 내린 중요한 해가 될 수 있음.
[레벨:30]스마일

2022.10.03 (19:06:48)

경제는 마냥 돈을 찍어낸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님. 코로나시기에 미국은 마이너스성장인데 주식은 오르는 기형성장.
풀어놓은 돈은 언젠가 인플레로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있음. 미국도 작년에 한국이 금리 올리는 거 보고 올렸으나 이제는 경제에서 선행역할을 하는 나라가 사라졌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261
1315 동생과 오빠 image 김동렬 2016-07-20 4065
1314 구조론은 바둑이다 5 김동렬 2014-07-19 4064
1313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39 오리 2021-07-19 4062
1312 감기교육 - 제민칼럼 4 ahmoo 2013-04-18 4059
1311 사랑은 강박장애 image 1 김동렬 2016-11-13 4058
1310 before sunset vs before sunrise 4 눈내리는 마을 2011-02-19 4053
1309 생각의 정석 117회 -알파고 특집 3 오세 2016-03-12 4052
1308 디자인과 파인아트의 차이 5 양을 쫓는 모험 2011-11-30 4049
1307 티라노의 발목 image 1 김동렬 2017-10-26 4047
1306 심심풀이 구조론 문제 20 김동렬 2013-02-26 4046
1305 자이로의 원리 image chow 2022-08-27 4040
1304 시대전환: 개발에서 관리의 시대로 1 dksnow 2022-07-20 4040
1303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image 18 김동렬 2015-03-03 4040
1302 진보는 출세한다 2 담 |/_ 2012-12-27 4040
1301 남매간의 사랑은 가능한가? 김동렬 2018-02-04 4032
1300 바깥뇌-사회적 상호작용 1 김동렬 2011-01-10 4027
1299 생각의 정석 10회 오세 2013-08-28 4019
1298 위험한 한국 image 7 김동렬 2014-03-30 4018
1297 생각의 정석 3회 주제 1 오세 2013-07-03 4018
1296 모티브교육으로 가야 한다. ahmoo 2012-02-26 4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