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804 vote 0 2022.09.12 (21:10:19)

    윤석열이 잘못한 것은 없다. 바보라는 사실을 들켜서 지지율이 낮다. 내려간 것은 지지율이 아니라 기대치다. 조중동과 이준석의 낚시에 국민이 속았을 뿐 윤석열은 대선 이전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다. 거품이 꺼진 것이다. 다시 지지율이 살아날 가능성은 없다.


    내려간 것이 없으니 올라갈 것도 없다. 푸틴은 바보라는 사실을 들켰다. 모든게 삽질이지만 이번에 러시아 국민을 허탈하게 만드는 거한 삽질을 했다. 진짜 삽질은 4월 초에 키이우 포위를 풀어준 것이다. 강도가 흉기를 놓아버린 셈이다. 그걸로 협상은 물 건너갔다. 


    갑을이 바뀌었다. 목을 겨누고 있던 칼이 사라지자 젤렌스키는 뻔뻔해졌다. 일선의 병사야 죽든 말든 내 한 몸만 안전하면 키이우 시민들은 전쟁을 지지한다. 이번 하르키우 철수는 키이우 철수가 삽질이었음을 확인시킨게 삽질이다. 그동안은 거짓말이 먹혔다. 


    사실은 돈바스가 주공이고 키이우는 훼이크였어. 잘난 척하기 좋아하는 한국의 일부 지식인도 가담했음은 물론이다. 이번에 드러났다. 두 번 다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삽질한 것이다. 전쟁도 삽질, 키이우 철수도 삽질, 하르키우 철수도 삽질. 계획 같은 것은 없었다.


    그냥 삽질꾼이 하던 대로 삽질한 것이다. 이제 러시아 국민이 그러한 내막을 알아버렸다. 출구전략은? 그런거 없어. 전쟁 왜 했어? 몰라. 그냥 해봤어. 푸틴 본인의 판단이 아니라 주변의 부추김에 넘어간 것이다. 부추긴 사람은 똑똑한 푸틴이 알아서 하겠거니 한 거다.


    적어도 전쟁에 관해서는 푸틴은 보통 사람 이하의 판단력을 보여주고 있다. 내가 해도 저거보다는 낫겠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대대전술단 삽질, 특수부대 키이우 습격실패. 키이우 공격중 교통정체. 체르노빌 방사능. 3일 만에 끝난다고 보급을 안 해. 모스크바함 침몰.


    지금까지는 속일 수 있었다. 키이우는 주공이 아니라 조공이었어. 푸틴에게는 다 계획이 있어. 이건 작전상 후퇴인 거야. 부하들이 잘못했어. 하고 둘러댔지만 이제 거짓말 돌려막기도 한계에 도달했다. 이럴 거면 도대체 전쟁은 왜 한 거야? 출구전략은 있기나 하냐?


    한국인들도 윤석열이 원래 저런 인간이라는 사실을 알아버렸다. 대통령 왜 나왔어? 남들이 나가보라고 해서 나왔어. 국정을 어떻게 운영할 거야? 몰라. 나한테 출마하라고 부추긴 사람이 답을 갖고 오겠지. 천공? 석열이 알아서 하겠지. 석열? 천공이 해답을 주겠지.


    푸틴은 가오를 잃었다. 석열은 망신을 당했다. 민주세력은 권위를 잃어도 산다. 대신 사람을 키우기 때문이다. 동료와 함께 팀플레이를 하기 때문이다. 집단지성에 의지하기 때문이다. 민주세력의 지도자는 망신을 당해도 그것이 밀알이 되어 나중에 보상을 받는다. 


    권위주의 세력은 권위로 산다. 권위주의 지도자 윤석열과 푸틴이 권위를 잃는 순간 이미 죽어 있다. 박근혜가 최순실의 존재를 들켜서 죽었듯이 말이다. 식물 대통령으로 5년을 버틸 모양이지만 총선 앞두고 결판이 난다. 못 먹는 감을 찔러볼 사람이 조만간에 뜬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40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86
2026 정복해야 할 세 극점 3 김동렬 2009-09-17 15641
2025 발달린 뱀 image 1 김동렬 2009-09-16 21398
2024 잡다한 이야기 김동렬 2009-09-14 16656
2023 관계를 깨닫기 김동렬 2009-09-11 16068
2022 양자구조론 1 김동렬 2009-09-07 14779
2021 동영상강의 일부 해설 김동렬 2009-08-31 16193
2020 계를 발견하기 1 김동렬 2009-08-27 16204
2019 여성성이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09-08-23 17371
2018 백문백답 초고 6 김동렬 2009-08-14 11530
2017 평상심이 도다 4 김동렬 2009-08-13 17562
2016 새 책 소개와 계획 image 7 김동렬 2009-08-12 15478
2015 철학의 질문 백가지 예 3 김동렬 2009-08-10 11886
2014 철학의 질문 백가지 15 김동렬 2009-08-09 14880
2013 구조론으로 생각하기 김동렬 2009-08-06 16057
2012 8월 3일 동영상 해설 3 김동렬 2009-08-04 13774
2011 왜 사는가? 7 김동렬 2009-07-31 19939
2010 아우라(aura)란 무엇인가? 6 김동렬 2009-07-27 16569
2009 그림으로 본 구조론 image 5 김동렬 2009-07-22 14924
2008 7월 14일 동영상 풀이 2 김동렬 2009-07-13 14146
2007 지적 암살정국 4 김동렬 2009-07-07 15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