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mowl
read 7163 vote 0 2022.08.22 (19:08:09)

-전기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 블랙아웃이 발생하기 때문에, 항상 수요를 웃도는 초과공급을 해야함

-현재 전기를 저장하는 기술에는 한계가 많음 >> 수요에 맞춰 공급을 조절해야함

-공급이 지나치게 많아도 전력망에 과부하 >> 블랙아웃이 발생(!)

-석탄화력과 원자력은 공급조절이 어려운 반면, LPG/태양광은 공급조절이 용이함. 때문에 어떤 이유로 전기 공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LPG/태양광 발전을 중단함. (석탄/원자력은 수요가 줄어도 중단할수가 없음)

-원자력 발전에 따른 폐기물처리 비용을 포함해, 공급 조절이 불가한 원자력 발전은 독일의 전기수급 구조에서는 경제적이지 않다고 판단(전기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 경우 석탄화력/원자력 발전의 잉여전기 처리비용/리스크 비용이 더 큼) >> 독일 경제장관은 원자력 발전 재가동을 반대



독일 경제장관은 왜? 원전 재가동을 반대할까??

https://www.ddanzi.com/index.php?mid=free&bm=hot&page=6&document_srl=747435209


[특파원리포트] 전기 남아돌아도 ‘블랙아웃’…日 ‘태양광 발전’ 기로에?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051173


'전력 과잉생산' 제주 태양광발전소 또다시 가동 중단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3286284Y


비트코인을 통한 전기의 금융화

https://gujoron.com/xe/?mid=gujoron_board&search_target=nick_name&search_keyword=mowl&document_srl=1427224


[레벨:11]dksnow

2022.08.22 (23:25:36)

앞으로도 비트코인은 꾸준히 투자할 예정.

프로필 이미지 [레벨:8]mowl

2022.08.23 (00:19:12)

시간/공간적으로 전기를 옮기는 기술은 크게 송전/축전이 있고, 이런 이유 때문에 축전 역할을 하는 전기차가 정부 보조금을 받음.

친환경 에너지원은 대체로 안정적인 수급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친환경 에너지원의 과잉/과소 생산을 해결할 방법으로 송전/축전 외에 비트코인이 대안이 된다는 주장. 

비트코인은 전기가 싸면 채굴하고 비싸면 끄면 되는데, 이러한 특성이 특히 친환경 에너지원의 한계를 보완해준다고. 그래서, 혹자는 비트코인 같은것을 일부러라도 만들어내서 송전/축전 기술의 한계로 인한 국지적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10285
2246 OPENAI O3 모델이 arc test에서 70점 이상을 받았네요. image 1 오리 2024-12-26 5667
2245 호기심은 없다 5 chow 2024-12-19 3528
2244 쿠데타가 어려운 이유 chow 2024-12-19 3696
2243 구조론 격주모임 [길동생활] image 7 ahmoo 2024-12-18 3691
2242 1987년 중학교 1학년의 기억 이상우 2024-12-16 3328
2241 내일(토) 여의도 집회 참여, 여의도역 6번 출구 image 4 chow 2024-12-13 3761
2240 이재명이 왜 탄핵에서 나와? 1 이상우 2024-12-11 3614
2239 유전자가 아니라 환경이다 image 2 추론이 철학이다 2024-12-10 3388
2238 기억은 조작되지 않는다 chow 2024-12-09 4406
2237 상대성 이론 간단 정리 1 chow 2024-12-08 4479
2236 [질문]수평대칭과 수직대칭 image 5 추론이 철학이다 2024-12-07 3299
2235 금일 여의도 집회 참여 공지 image 4 chow 2024-12-07 3627
2234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6 오리 2024-12-04 3284
2233 채찍과 당근의 비대칭 추론이 철학이다 2024-12-03 4638
2232 문제행동이 심각한 ADHD 학생이 달라진 이유는 3 이상우 2024-12-03 3079
2231 난수는 없고 모르는 건 있다 2 chow 2024-11-28 4493
2230 구조론과 트리구조 image 4 추론이 철학이다 2024-11-27 3401
2229 교직에서 나는 긍정주의자인가, 부정주의자인가? 이상우 2024-11-27 3847
2228 천재의 뇌는 사회로부터 억압받는가? 추론이 철학이다 2024-11-25 3730
2227 조선일보처벌 시민걷기대회 image 수원나그네 2024-11-25 4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