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58 vote 1 2022.08.18 (20:22:20)

    이기는 힘은 주체와 객체 사이에 지렛대를 만드는 것이다. 지렛대는 받침점과 힘점, 작용점으로 구성된다. 우리는 받침점을 고정시키고, 힘점을 움직여서 작용점을 통제하지만, 더 쉬운 방법은 받침점을 상대방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합기술의 원리가 그러하다.


    펜치나 가위와 같은 도구는 받침점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팔씨름을 해도 손목을 잡으면 불리하다. 잡는 위치가 받침점이다. 질은 힘점과 작용점을 연결하고, 입자는 받침점을 찾고, 힘은 받침점을 이동시키며, 운동은 힘점을 움직이고, 량은 작용점을 해결한다. 


    인간의 신체구조는 지렛대와 반대로 되어 있다. 척추가 받침점이고 근육이 힘점이고 손발이 작용점이다. 작용점과 힘점이 같은 방향이다. 척추를 움직일 수 없으므로 받침점을 이동시킬 수 없다. 그러나 합기도라면 상대방을 잡은 손을 받침점으로 삼아 이동시킨다. 


    토크와 마력의 관계다. 마력은 힘점을 움직이고, 토크는 받침점을 움직인다. 디젤 엔진은 피스톤이 길기 때문에 지렛대가 더 세다. 유도선수는 상체를 낮추고 기술을 건다. 지구가 받침점, 주체가 힘점, 객체는 작용점이다. 나와 상대 사이의 받침점을 지구로 옮긴다.


    우리가 힘을 쓸 때는 주체와 객체 사이에 지렛대를 만들고 그 지렛대의 축을 움직여서 토크를 만드는 것이다. 받침점을 움직이는 것이다. 이기는 힘은 받침점의 이동힘이다. 우리는 주체와 객체 사이에 대칭을 만들고 둘 사이에 있는 축을 이동시켜서 통제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29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978
6029 왜?는 과학인가? 김동렬 2021-11-18 2819
6028 의리 권력 동원 사회 1 김동렬 2021-11-27 2820
6027 이야기의 단초 2 김동렬 2020-03-08 2822
6026 구조론의 힘 3 김동렬 2021-12-04 2822
6025 강형욱 양원보 통일교 내전? 4 김동렬 2024-05-27 2822
6024 석열이가 너무해 image 김동렬 2022-12-02 2823
6023 유대인이 흥하는 이유 1 김동렬 2020-04-29 2824
6022 윤석열의 추락이유 김동렬 2022-07-07 2825
6021 언어는 연결되고 과학은 재현된다 김동렬 2020-09-23 2826
6020 질서론 1 김동렬 2020-01-20 2827
6019 구조를 보라 김동렬 2020-12-21 2827
6018 마이너스의 방향성 1 김동렬 2020-03-18 2828
6017 철학의 탄생 1 김동렬 2020-05-13 2828
6016 박용진의 배반공식 김동렬 2021-03-01 2828
6015 근본모형을 일으켜라 김동렬 2021-02-27 2829
6014 전두환의 추종자들 김동렬 2021-11-27 2829
6013 비트코인은 쓰레기다 1 김동렬 2022-05-28 2829
6012 핸들을 놓치지 말라 김동렬 2021-09-13 2830
6011 긍정적 사고 김동렬 2024-01-17 2830
6010 유시민의 전략 김동렬 2023-01-08 2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