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4107 vote 0 2022.08.15 (19:04:20)

피타고라스의 정수론부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까지


어떤 둘이 있다. 둘을 비교하고자 어느 하나로 다른 하나를 계량하는 상황이다. 


1. 피타고라스의 정수론

: 수는 원래 상수배로 나와야 아름다운 것이야. 그게 정수지. 대장간에서 소리를 들어보라니깐? 좋은 소리는 원래 정수비를 가진다고. 하여간 어떤 둘을 비교할 때는 한 놈을 기준으로 다른 놈을 측정하자는 게 정수야. 근데, 뭐, 히파수스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무리수를 발견했다고? 눈을 찔러버려.


2. 제논의 역설

: 세상에는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것이 있다네. 거북이로 아킬레스를 나눠보라니깐. 이런 식으로 대상을 비교하는 건 문제가 있다니깐? 하여간 신기하기는 하잖아. 사람들은 다 낚인다니깐. 영화 곡성에 낚이는 사람이 100%인 거 보면 감이 오잖아. 이놈 저놈 죄다 범인 같거등. 이놈을 때린 놈이 저놈이고, 저놈을 때린 놈이 삼놈이고 삼놈을 때린 놈이 사놈이고, 어라 근데 사놈은 아까 그놈이 때렸네? 이쯤 되면 욕 나오는 거지.


3. 갈릴레이의 상대성

: 짜식들아 배 위에서 공을 떨어뜨려보라고. 공이 똑바로 떨어지잖아. 공의 운동은 배의 운동에 지배되고 있다니깐? 그럼 곡성의 인물들도 뭔가에 지배되고 있다고 봐야 하지 않겠어? 운동은 상대적이야. 배를 기준하냐 공을 기준하냐에 따라서 해석은 달라질 수 있는 거라고. 바로 그게 관측자의 원리야. 상대성이지. 근데 배에서 공을 떨어뜨리다가 이상한 걸 발견했어. 공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네. 이게 뭐지?


4. 뉴턴의 미적분과 절대성

: 갈릴레이 형님이 뭔가를 보신거 같은데, 그럼 우리 기준을 좀 바까봅시다. 이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걸(=둘을 비교하는 걸)" 제3의 변수를 기준해서 측정이란 걸 좀 해보자고요. 즉, 어떤 둘을 비교할 때는 둘 중 하나로 다른 하나를 측정하지 말고, 제3의 어떤 걸로 하자는 거죠. 


어떤 둘이 무한 반복하며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면 그 두놈을 딱 고정시켜서 어떤 거라고 치고, 제3놈을 가져다 대칭시키자는 거죠. 원주율 구할 때 이렇게 했잖소. 이것도 비슷하게 볼 수 있습니다용. 그럼 제3놈은? 이왕이면 시간으로 합시다. 


근데 시간이 뭐냐고요? 인간에게 시간은 변하지 않는 어떤 것이어야 하는데 이왕이면 사계절로 합시다. 매년 반복되고 있으니깐. 믿을만 하오. 이런 걸 절대적인 거라고 하지. 일종의 신이랄까. 곡성의 범인은 공간속의 인물이 아니에요. 그 공간을 벗어난 어떤 것이어야 한다고요. 더 이상은 스포니깐 생략하겠소.


떨어지는 공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것은 가속도라고 할 수 있슴돠. 물체가 운동한 거리를 시간으로 한 번 미분하면 속도가 나오고, 그걸 한 번 더 시간으로 미분하면 가속도가 나옵네다. 감이 좀 오십니까?


4.1. 맥스웰도 있다고. 넌 안 쳐줘.


5.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라 쓰고 절대성이론이라고 읽는다

: 뉴턴이 좋은 거 발견했는데, 시간이란 게 막연한 거요. 지구의 관점에서나 태양이 유효하지, 안드로메다까지 가버리면 태양은 좀 거시기한겨. 자, 이왕이면 우주의 관점에서 변하지 않는 걸 기준해야 하지 않겠소? 요새 빛이 뜨는 거 같은데, 빛의 속도야 말로 변하지 않는 놈으로 딱입니다. 빛은 우주 어디에서나 똑같이 움직이니깐. 이놈이야 말로 절대적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6. 챠우

: 그거 그냥 2차원 나눗셈. 무한이 아니라 대칭이고, 미분이 아니라 비대칭이고. 헷갈려? 그냥 차원을 받아들여. 길이와 면적, 부피에는 차원을 잘만 쓰더만. 단위를 써야 헷갈리지 않는다고. 받아들일 수 있는 거라고. 제논의 역설에 말려드는 이유는 청자가 단위를 쓰지 않기 때문이야. 거리의 비로만 말하니깐 말려드는 거고, 속도의 비를 말하면 무한의 역설에 빠지지 않는다고.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135
2015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43
2014 구조론에 기반한 메모1 5 오세 2010-01-07 4575
2013 구조론 메모2 -상담계, 2 오세 2010-01-07 4577
2012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123
2011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057
2010 구글, 오바마 효과? image 1 ░담 2010-01-15 4836
2009 리플대박 관련공지 11 김동렬 2010-01-15 5593
2008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410
2007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785
2006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482
2005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13
2004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437
2003 아이패드와 eBook 혁명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1-31 6450
2002 밸런스의 중요성. 3 오세 2010-01-31 4441
2001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5001
2000 앞날 생각할 때 자세 앞으로 쏠려 1 김동렬 2010-02-01 4872
1999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882
1998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923
1997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732
1996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