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3235 vote 0 2011.01.31 (19:44:05)

나는 외로울 때

구조론 공부를 한다.

 

체계의 가지를 줏어 모아

따닥따닥 모닥불을 피우고 있노라면

 

몸이 저절로 따뜻해지고..

별은 등대처럼 내 하늘에서 반짝인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1.01.31 (20:35:10)

나는 삶이 무료하고 고독하고 비참한 이유를 구조론을 통해서 더 적나라하게 보았다.

그것이 더 나를 비참하게 했다.

왜 비참할까?

왜 비참하다고 느껴질까?

왜 끝없이 심연속으로 가라앉는 나를 발견하고 또 발견하게 될까?

나를 본다는 것이 정말 힘겨운 일임을 알았다.

비참한 이유...존엄을 스스로 얻지 못해서...성취감이 없어서..열정을 쏟을 데가 없어서... 쏟을 곳을 찾지를 못해서...

에너지를 발산하지 못해서...인간으로 스스로 홀로 서기를 하지 못해서... 존재를 증명하지 못해서...중심으로 가지 못해서...신을 대면하지 못해서...

모든 존재가 비참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알까...?

존재 스스로 너무도 비참해서 막을 걷어내고 뛰쳐나가고 싶은 심정을 보았을까...?

비참하고 비참하고 너무 비참해서 돌 것 같은 상황을 알까?

속을 본다는 것, 속을 보아 준다는 것... 비참하다고 말할 때 그 말뜻이 뭔지를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왜 구조론은 나를 보게 만들어 나의 비참함에 불을 지르는 것이오.

비참함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왜 이리 노골적으로 보게 만드는 것이오.

이 비참함을 참을 수가 없는데, 도저히 견딜 수가 없는데...이제 출구를 찾아야 하는데...사실 방향을 잘 모르겠는데...

그래도 내가 비참함의 한 가운데 있었다라는 사실을 안 것은 수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러나 그래도 그것을 안 것이 어디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2011.01.31 (21:00:37)

운명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1.01.31 (21:18:15)

운명을 넘어서고 싶다면..발칙한거요?

숙명은 진즉에 버렸으나..때로는 숙명에 끌려가기도 하오.

내힘이 센지 숙명 니힘이 센지 겨뤄보는 한판 승부라는 생각도 드오. 운명은...

역시나 ..그래서 운명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11.02.02 (00:25:29)

나는 운명을 완성하고 싶어서 여길 들락거리오.

 

솔직히 구조론 출간 책만 사놓고 아직 한권도 끝까지 읽지 못했소.

20세 이후에 재미있어 보이는 장편소설들을 읽기 힘들었소.

너무 빠지면 아무것도 못하고 마니까...

사춘기 이후, 책 한권을 제대로 읽기가 힘들었소.

책만 사놓고 목차만 보고 만것이 수두룩하오.

부끄러운 일이어도 할수 없소. 

진득하지 못하고 얇디얇은 나의 기타등등 삽질에도 후회 없소. 

 

어쩌다가 너무나 간절할 때 밤새워 읽는 적은 있으나 자주 그러지 못하오.

(사실은 언제나 간절하오만) 

 

아직까지 순전히 감으로 이해하고 있소.

살아가면서 들락거리면서 이해하고 있는 중이요.

 

몇박며칠 캠프를 갈 수 있는 날을 그리워하고 있소.

 

모든 것은 내가 만들어 왔고 내가 만들어 가는 것이오.

모든 것은 내가 원했던 것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44
34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출간 파티 image 7 오리 2023-06-07 5682
346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684
345 왜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2-07 5690
344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5697
343 트레일러 파크 보이즈 image 1 김동렬 2019-04-12 5709
342 어느 쪽이 낫소? image 13 김동렬 2013-05-02 5719
341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723
340 독립형 엔지니어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09-11-21 5733
339 소그드인의 뿌리 3 김동렬 2016-04-01 5734
338 감자 보급과 이중의 역설 SimplyRed 2023-05-06 5755
337 기존의 마음 이론의 한계 오세 2010-11-12 5757
336 굿바이 송진우 눈내리는 마을 2009-08-31 5773
335 트럼프의 미국을 예언한 영화 이디오크러시 image 김동렬 2016-11-10 5780
334 이상적인 정자의 구조는? image 2 김동렬 2014-07-14 5792
333 선풍기 괴담의 비과학성 1 김동렬 2011-07-04 5794
332 구조론 문제 김진태 화백의 경우 image 31 김동렬 2012-12-24 5794
331 오자병법 대 손자병법 image 3 김동렬 2016-04-25 5794
330 구조의 의미. 1 아제 2010-09-17 5802
329 시간의 강가에 앉아 image 1 ahmoo 2010-08-02 5806
328 브라질 땅콩 효과 image 김동렬 2016-06-03 5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