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49 vote 1 2022.08.09 (18:16:29)

    권력은 상호작용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통제다. 상호작용을 중단시키는 것은 엔트로피다. 엔트로피에 의해 어떤 결정을 할 때마다 구조손실이 일어나므로 의사결정은 그 손실을 메울 수 있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권력은 구조손실에 따른 사후 의사결정비용의 청구에 대한 사전담보 조치다.


    의사결정 최소화의 법칙 - 여럿을 한 줄에 꿰어 한 방에 해결하면 비용이 절감된다. 다수의 자원이 모여 계를 이루었을 때 의사결정을 많이 하는 경우는 비용손실로 약해져서 상호작용 경쟁에 지므로 의사결정 횟수를 줄인 쪽이 남는다. 상호작용 끝에 물이 아래로 흐르듯이 하나의 방향을 찾아내고 일제히 그쪽으로 몰려가게 된다.


    자연은 결 따라간다. 그저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다. 자원들을 서로 연동시켜서 의사결정을 최소화하는 것이 결 따라가는 것이다. 빛이 가장 빠른 길을 가는 것이 그러하다.


    권력은 상호작용 구조에서 엔트로피 증가에 대한 대응이다. 미리 담보를 잡아두는 것이다. 상호작용은 사건의 이전 단계가 다음 단계를 제한하여 객체에 대한 주체의 우위를 유지하는 형태로 일어난다.


    상호작용은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 일어난다. 주체지향적 사고가 깨달음이다. 특별히 훈련받지 않은 사람은 객체지향적 사고를 한다. 관측자가 인식의 주체가 되므로 인간의 시선은 자연히 객체를 향하게 된다. 주체와 객체의 연결고리를 파악하지 못한다. 사건의 연결 메커니즘을 깨닫지 못하고 사물을 개별적으로 판단한다. 파편화된 사고다.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를 보게 된다. 곧 유물론의 허무주의에 빠진다. 혹은 반대로 시선을 돌려 주체에 주목하지만 역시 주체를 객체화 하는 오류를 저지르기도 한다. 이는 관념론, 유심론의 오류다. 역시 상호작용을 깨닫지 못한 데 따른 오류다.


    상호작용이 끊어지지 않게 객체의 피드백이 주체에 플러스가 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권력이다. 농부의 수확량은 파종량보다 조금이라도 많아야 한다. 그래야 지속가능하다. 그러므로 농부가 수확을 예상하여 미리 비옥한 땅을 선택하는 것이 권력이다. 수확량이 파종량보다 적은 메마른 땅을 주고 더 많은 수확을 독촉하면 무리다. 권력은 순리라야 한다. 사건의 앞단계에 위치한 사람은 다음 단계로 연결하는 사람에게 최소한의 이익을 보장해야 한다. 여기서 인권개념, 기본권 개념이 나온다.


    낚싯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사람의 팔다리도 마찬가지다. 그 반대가 되면 팔이 부러진다. 기득권의 횡포는 끝단에 더 많은 부담을 지워서 낚싯대가 부러지게 만드는 것이다. 무리다. 상호작용이 지속가능하지 않다.


    자연에 엔트로피가 있다면 그에 대한 대응으로 인간사회에는 권력이 있다. 자연에도 권력이 있다. 그것이 기세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141
6057 등신외교 운운하는 등신들의 수사학 image 스피릿 2003-06-09 15598
6056 Re..오홋!! Y 2002-12-22 15595
6055 강금실의 재클린패션 image 김동렬 2004-03-26 15594
6054 우주의 호흡 image 1 김동렬 2011-07-27 15593
6053 서북에서 부는 바람 2 김동렬 2009-09-22 15592
6052 Re.. 서울역 조촐했습니다. 김동렬 2002-11-28 15590
6051 노무현은 이제 정치를 해야한다. image 김동렬 2003-06-20 15582
6050 송골매 image 김동렬 2003-05-21 15580
6049 인간의 본성 6 김동렬 2009-05-27 15579
6048 밀도있는 만남을 위한 조언 2005-08-18 15578
6047 변혁의 구조 김동렬 2006-05-24 15573
6046 역사는 반복된다. 반복되지 않는다. 김동렬 2003-05-23 15572
6045 전여옥 때문에 김동렬 2007-08-29 15571
6044 ㅎㅎㅎ 忠 or 孝? 선의 or 사익? 2002-10-30 15570
6043 장면정권의 실패와 노무현정권의 도전 김동렬 2003-06-02 15569
6042 고수와 하수 image 4 김동렬 2011-11-06 15565
6041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환멸 김동렬 2006-08-07 15563
6040 눈팅들이 국참연을 접수해야 한다 김동렬 2005-03-24 15562
6039 최장집과 노무현 2005-09-05 15561
6038 약간의 손질은 이렇게 하라 image 김동렬 2003-04-03 15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