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50 vote 0 2022.07.18 (19:12:35)

    이재명 사법리스크냐 윤석열 자멸리스크냐. 평상시라면 이재명의 행보에 문제가 있지만 비상시인 현실을 봐야 한다. 윤석열의 폭정에 맞서려면 권력공백보다는 두들겨 맞더라도 이재명으로 맞서는게 낫다. 이재명이 죽으면 다른 사람을 밀면 된다. 유시민도 있고.


    이재명이 들고나온 구호가 구조론 입장에서 반갑다. 이기는 정치는 구조론의 오래된 주장이다. 다윈의 진화론은 업그레이드되어야 한다. 진화가 랜덤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에너지는 방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진보든 보수든 합당한 생태적 지위를 찾아간다.


    환경은 변화한다. 변화된 환경에 걸맞는 생태적 지위가 있다. 정의당이 망하는 이유는 목적지가 고정되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항해하는 선박은 북극성을 보고 간다. 정의당의 이념은 북극성처럼 고정된 목적지다. 그러다가 눈앞의 거센 파도를 타고 넘지 못한다.


    구조론은 상호작용과 권력으로 설명한다. 사건은 맥락이 있다. 기승전결이다. 기가 승을 물고, 승이 전을 물고, 전이 결을 물고 간다. 서로 연동된다. 기는 승을, 승은 전을, 전은 결을 이겨야 한다. 올바른 목적지로 가는게 아니라 계속 이기면 결국 목적지에 도달한다.


    맥락이 권력이다. 생명은 호흡을 잃지 말아야 하고, 사회는 권력을 잃지 말아야 하고, 개인은 호르몬을 잃지 말아야 하고, 사건은 기세를 잃지 말아야 한다. 이겨서 일관되게 포지셔닝의 우위를 유지해야 한다. 질 수도 있지만 경험치를 쌓아서 더 큰 승부로 유인한다.


    지구에 최초의 세포와 DNA가 출현한 이후 이긴 종이 살아남았다. 나머지는 이기는 종의 확률을 만드는데 기여했다. 큰 틀에서 보면 지구에는 억조창생이 있는게 아니라 하나의 생태계가 있는 것이며 이긴 것은 유지되고 진 것은 확률로 그 하나의 존재를 떠받친다.


    우리는 이기거나 이기는 확률을 만들거나다. 이기거나 지는게 아니라 이기거나 이기는 데 보탬이 되는 디딤돌을 만드는 것이다. 어느 쪽이든 결국 이기는 쪽으로 수렴된다. 그것이 에너지의 작동원리다. 옳고 그름이 있는게 아니다. 옳음을 취하고 그름을 버리라고?


    천만에. 옳은 것은 키우고 그른 것은 거름으로 쓴다. 자연은 결국 커다란 하나의 계를 만들고 계 내부는 압이 걸리며 수압이든 기압이든 진화압이든 선택압이든 압이 걸리면 내부는 균일해지고 결국 한 방향으로 달려가되 이기는 자는 길을 열고 지는 자는 밀어준다.


    결국 모두가 이기게 된다. 구조론이 승리지상주의는 아니다. 에너지의 게임에서 궁극적으로 패자는 없다. 어차피 이기지만 리스크를 감수하고 지름길로 가느냐 아니면 돌다리를 두들겨보고 안전하게 가느냐다. 지금 바로 작게 이기거나 나중 천천히 크게 이기거나.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01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171
1944 이해찬 이낙연 이재명 학원폭력 엔트로피 1 김동렬 2020-08-29 3646
1943 엔트로피의 이해 image 2 김동렬 2020-08-30 3917
1942 말 한마디에 천냥빚을 탕감해주랴? 1 김동렬 2020-08-30 3651
1941 엘리트주의와 다원주의 1 김동렬 2020-09-01 5044
1940 질량의 1법칙과 변화의 2법칙 4 김동렬 2020-09-01 2806
1939 메커니즘을 이해하라 8 김동렬 2020-09-03 2891
1938 일원론으로 바라보라 김동렬 2020-09-03 2873
1937 존재는 에너지 + 관계다. 1 김동렬 2020-09-03 3050
1936 기득권 엘리트를 타격하라 김동렬 2020-09-06 2843
1935 구조론과 그 적들 4 김동렬 2020-09-06 3223
1934 수학자의 세계관 1 김동렬 2020-09-07 4846
1933 종교거지의 역사 4 김동렬 2020-09-08 3925
1932 행복이냐 치열이냐 김동렬 2020-09-09 3207
1931 인간은 무엇을 원하는가? image 김동렬 2020-09-09 3706
1930 눈을 뜬 자 석가 1 김동렬 2020-09-10 3453
1929 추미애의 맷집과 이재용의 애절함 김동렬 2020-09-11 3713
1928 화엄과 법화 1 김동렬 2020-09-11 3259
1927 엔트로피 1초 만에 이해하자 1 김동렬 2020-09-12 2933
1926 인간은 대단히 어리석다. 김동렬 2020-09-13 3528
1925 정치는 판 놓고 판 먹기다 김동렬 2020-09-14 3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