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388 vote 0 2022.07.15 (12:33:00)

    민주주의는 국민이 최종보스다. 정치는 국민이 결재를 하는데 윤은 법대로 한다면서 국민의 권리를 박탈했다. 양산에 양아치 풀어 국민의 품격을 손상시켰다. 청담동 언니 스타일로 개 안고 다니며 국민을 모욕했다. 진중권이 발악하지만 국민은 이미 방향을 정했다.


    까놓고 이야기하면 지난 두 달 동안 윤석열이 잘못한거 없다. 인사가 어떻고 뭐가 어떻고 그게 중요한가? 소소한 실수가 있지만 역대 대통령 중에 실수가 없었던 사람은 없고 윤석열 김건희가 나토 패션쇼에 참가해서 18분 정상회담 묵언수행으로 얻은 것이 더 크잖아.


    조중동과 한경오가 열심히 빨아주고 악재를 감춰주고 있잖아. 언론이 맹렬하게 쉴드를 쳐주는데도 지지율이 떨어지는 이유는 국민의 생존본능 때문이다. 정치가 판을 만들면 국민이 심판을 본다. 국민은 생존본능이 발동하면 판을 걷어차 버리고 심판을 거부한다.


    국민이 팔 걷어붙이고 직접 선수로 나선 것이다. 무의식이 작용한다. 논리는 심리를 이기지 못하고, 심리는 생리를 이기지 못하고, 생리는 본능을 이기지 못한다. 애정을 가지고 윤석열 찍은 사람은 없다. 정치 6개월 신인에게 무슨 애정이 있겠는가? 신고식 해야지.


    연애도 안 하고 결혼부터 했는데 신부가 너무 많다. TK든 이대남이든 조중동이든 한경오든 진중권이든 다 정략결혼이다. 정략결혼이 깨진게 지지율 몰락의 원인이다. 윤석열의 추락이 무서운 이유는 미운 윤석열을 찍어준 이유가 바로 그러한 이유이기 때문이다.


    윤석열의 멸망은 국민 모두가 알고 있다. 그게 약점이다. 윤석열은 약점이 잡혔으니까 우리에게 고분고분하지 않을까? 그런데 고분고분하지 않다. 그렇다면 게임 끝난 거. 정리하면 윤석열 찍은 자는 모두 정략결혼이며 정략결혼이 약점임을 알고 찍었다는 말이다.


    정략결혼은 오래 못 가지. 윤석열이 광주 방문했지만 그거 다 쇼지. 당선만 되면 TK에 찰싹 달라붙을걸. 이러고 찍은 것이다. 장점을 보고 투표를 해야 하는데 단점을 보고 투표했다. 김건희가 정답을 말했다. 저거 등신인데 나 없으면 밥도 못 얻어먹고 굶어 죽을걸.


    불쌍해서 내가 거둘 수밖에. 다들 이런 속셈으로 찍었다. 약점을 쥐고 흔들려고 찍었는데 문제는 그런 세력이 너무 많다는거. 약점 많은 윤석열이 나한테만 코를 꿰이었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사방으로 코가 꿰었네. 소는 한 마리인데 코뚜레가 열다섯이면 어쩌지?


    그 소는 잡아야 한다. 양산에서 떠드는 자들도 사실은 윤석열을 향해 짖는 것이다. 계속 귀찮게 굴면 나한테 눈길이라도 한 번 주겠지 이러는 거. 조중동이 윤석열을 버린 이상 피아구분 없는 공공의 적이 되었다. 밉상이 되면 방법 없다. TV에 나올수록 짜증난다.


    100일 주겠다. 그 안에 정리하고 떠나라. 다들 이런 심정이 되어 지지율 떨구기로 눈치를 주고 있는 거. 선상반란에 대해서는 국제관례가 이미 확립되어 있고 전두환도 중국인 선상반란자를 중국에 돌려줬다. 이런 더티 플레이를 할수록 국민의 본능은 꿈틀거린다.


[레벨:11]토마스

2022.07.15 (12:39:27)


이왕 이리 된거 불멸의 기록이라도 세워야죠.


국내 최단기간 하야 기록. (세계기록은 며칠일까?)

국내 최단기간 지지율 20% 진입

국내 최단기간 대통령되고 감옥직행

국내 최초 대통령 가족 3명 감옥행(본부장)


지지율 떨어지자 북풍쇼를 대대적으로 벌이는 굥은 아직도 80년대에 살고 있는굥?


굥이 후보일 때 매일 말실수 할때 처음엔 국민이 재밌어했지만 나중에는 스트레스.


대통령되어 삽질하는 것 구경하는 것 처음엔 재밌지만 곧 국민의 스트레스가 될 듯.

바보짓도 한 두 번이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860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6876
6859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383
6858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534
6857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418
6856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338
6855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742
6854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292
6853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963
6852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5819
6851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020
6850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449
6849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335
6848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209
6847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044
6846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473
6845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114
6844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176
6843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116
6842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238
6841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