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read 3956 vote 0 2011.01.26 (20:29:50)

신, 별거 아니다.

 

신>> 만유>> 생명>> 인류>> 나.

 

나는 사람이다. 그대 사람인가.

 

인류를 낳았으나 인류가 아닌 것이 있었으니 생명이다.

생명을 낳았으나 생명이 아닌 것이 있었으니 만유다.

만유를 낳았으나 만유가 아닌 것이 있엇으니 신이다.

 

인류의 수가 70억에 이른다 한다. 온통 인간이다. 별거 없다.

생명의 수는 셈하기가 어렵다. 온통 생명이다.  별거 없다.

만유의 수는 셈할 수가 없다. 온통 만유다. 별거 없다.

신은 온것이다. 온통 신이다.

 

별것을 다 셈한다 하여도 온것이 아니다. 별것으로 온것을 만날 수 없다.

별것을 보는 눈으로는 볼 수 없다.

 

사유해야 한다.

온것으로 사유해야 온것을 볼 수 있다.

 

구조하길 권한다.

 

별난것은 그림자다. 껍떼기다. 흔적이다. 관찰할 수 있어도 연역할 수 없다. 사유할 수 없다.

중심으로  치고가야 한다.

 

부모가 나를 낳았다. 부모만 보고 인류를 보지 못하면, 사람 값하기 힘들다. 사랑스런 아이일 수 있어도 듬직한 어른이 되진 못한다. 때가 되면 낳아 준 부모를 떠나 진짜 부모를 만나야 한다. 뻐꾸기 소리에 현혹되지 말고, 인류를 통째로 만나야 한다. 온인류를 만나야 자유할 수 있다.

 

온 중심을 만나면 다음 중심으로 향할 수 있다. 다음 사유를 할 수 있다.

 

지구 위에서 생명 하나가 선다면, 그 생명은 지구의 중심과 맞선 것이다. 지구 중심은 태양 중심과 맞선다. 태양 중심은 은하 증심과 은하의 중심은 그렇게 다음 중심과, 그렇게 우주 중심과 만나는 것은 멀 수는 있어도, 복잡하지 않다. 난해하거나 신비할 것이 없다.

 

사유하라. 온통 신이다.

 

구조로 보라. 신은 온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1.01.26 (22:32:48)

신이 있든 없든

사람들이 신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소.

신과 소통하지 못한다면 말이오.

인간들의 신에 대한 관념은 개미가 인간을 상상하는 것과 다를 바 없소.

인간이 개미집을 사서 개미를 관찰하는데 개미가 인간을 어떻게 보든 인간에게는 개미일 뿐.

신을 이해하려면 신을 흔들어 놓을 수 있는 사업을 벌이지 않으면 안 되오.

하여간 인간은 신을 귀찮게 하지도 못하고 있다고 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6]지여

2011.01.27 (20:21:5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24
1852 노무현과 심형래 8 양을 쫓는 모험 2011-01-09 4786
1851 확률을 높이는 퍼즐링 image 11 양을 쫓는 모험 2011-01-09 4511
1850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image 7 꼬치가리 2011-01-10 6652
1849 바깥뇌-사회적 상호작용 1 김동렬 2011-01-10 3991
1848 순간 계산 궁금하오 17 지여 2011-01-10 4298
1847 계산에서 진법으로.. 5 아제 2011-01-10 4054
1846 마이너스의 성질 3 아란도 2011-01-11 3851
1845 아래 댓글이 넘 길어..... image 20 지여 2011-01-13 4652
1844 힘이 논리다. 2 ░담 2011-01-14 3934
1843 뇌에 ‘유령 신경세포’ 많다 2 김동렬 2011-01-18 5032
1842 김대호소장의 글을 읽으면서 23 긴 호흡 2011-01-18 7965
1841 지구둘레길 6 지여 2011-01-24 6605
1840 조광래 축구의 명암 10 김동렬 2011-01-26 4859
» 권구조담- 신, 별거 없다. 2 ░담 2011-01-26 3956
1838 양모의 예언 1 양을 쫓는 모험 2011-01-29 3630
1837 구조론 캠핑. 4 아제 2011-01-31 3258
1836 (사람을) 안다 는 것 3 지여 2011-01-31 3994
1835 일원론. 3 아제 2011-01-31 3635
1834 존엄에 대해 1 김동렬 2011-02-01 3842
1833 대충해도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1-02-10 4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