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latest.png

수요자와 생산자가 시장에서 가격을 기준으로 거래를 함으로써 거래주체들은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누릴 수 있는데요,

아래 영상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닫힌 계 안에 있는 개인들은 이 거래를 통해 한 달 생존할 것을 두 달 생존할 수 있습니다. 거래라는 것이 무엇을 직접적으로 생산하지는 않지만, 거래에서 생기는 이 잉여는 무엇을 생산한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전기 거래의 경우 그 특성 때문에 수요자/생산자가 공간/시간적으로 거래를 하기 힘든데요, 이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제가 알기로는 송전시설, 2차전지, 그리고 비트코인입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중요한 특징들이 더 있는데요, 아래 영상에서 그 내용들을 다룹니다.

https://youtu.be/h7BVNcZMW68



다음은 영상 댓글에 나온 "주요국의 전력 설비예비율 비교연구" 발췌입니다.


전력은 타 에너지원에 비해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 첫번째 특성은 대규모 저장이 불가능한 점, 두번째 특성은 대규모 저장이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실시간으로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켜줘야만 한다는점이다. 이러한 전력의 물리적 특성으로 전력사업에서는 전력의 총 소비보다는 최대전력(최대부하)에 대응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최대부하 시간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면 나머지 시간(최대부하 보다 수요가 낮은 시간들)에는 연료공급의 문제만 없다면 전력의 공급에 차질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력공급에서 차질이 없도록 설비를 대규모로 확충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유휴설비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이다. 전력이 저장되지 않는다는 특성에 따라 최대부하가 아닌 시간대에는 많은 발전기들이 전력을 생산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연중 최대부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예상되는 최대부하를 초과하는 용량의 설비를 보유하고 있어야만 부정확한 예측에 대비할 수 있다. 즉 전력산업은 많은 설비들이 연중 많은 시간대에 제품인 전력을 생산하지 않고 가동을 중지하고 있어야만 하는 설비이용의 비효율성이 높은 산업이기도 한 것이다. 설비이용의 비효율성이 높을수록 고정비 성격의 설비투자비는 적게 생산된 전력에 나누어져야 하며, 이는 전기요금 상승의 압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적정 설비예비율에 대한 논의는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이 대규모 저장되는 기술이 시장에 등장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중략)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발견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늘어날수록 재생에너지 발전원별 실효용량, 즉 최대부하가 발생하는 시간에 발전할 수 있는 양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재생에너지 발전의 간헐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장치 증설, 운영 예비력의 증가(예비력 시장의 역할 증대)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 보유하고 있는 간헐성 발전설비의 계절별 시간대별 발전량을 가능한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다. 이미 정부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재생에너지 통합 관제시스템 구축”을 통해 변동성 전원 증가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토록 제안하였다. 재생에너지 통합 관제시스템에서는 분산전원의 제어관리 기능의 강화와 함께 재생에너지 발전의 모니터링을 통해 예측치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빠른 시일 내에 모든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전력설비예비율의 적정수준에 대해 다소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주요 선진국은 재생에너지 발전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지만 평균 25% 수준에서 전력설비예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평균 36% 수준의 전력설비예비율을 보이고 있는데, 굳이 해석하자면 적정 전력설비예비율을 달성하여 전력시스템의 안정성을 기 확보한 주요 선진국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력시스템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을 경우 변동성 전원의 증가에 따른 불안정성을 흡수할 수 있는 역량이 높기 때문에 보다 수월하게 재생에너지 발전 보급 확대 정책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대만과 호주에서 최근 발생한 정전은 재생에너지 발전 증가와의 연관성 여부를 떠나서 전력시스템의 운영예비력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이 든다. 운영예비력을 높이려면 당연히 공급예비력이 높아야 하는데 이는 전력설비예비율이 다소 여유가 있을 때 가능한 일이다. 물론 적정한 전력설비예비율의 추정이 쉬운 작업은 아니나, 현재 정부가 설정한 22% 수준에 대해 큰 문제를 제기하는 어렵다.
다만 2030년 20%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기준으로 22% 수준의 전력설비예비율이 적정하다고 가정하더라도 향후 2040년까지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30~35%까지 증가할 것으로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보다는 다소 보수적인 접근을 가질 필요도 있을 것이다.


https://www.keei.re.kr/web_keei/d_results.nsf/0/7272DE47FB6291124925854C0006DE96/$file/18-05_%EC%88%98%EC%8B%9C_%EC%A3%BC%EC%9A%94%EA%B5%AD%EC%9D%98%20%EC%A0%84%EB%A0%A5%EC%84%A4%EB%B9%84%EC%98%88%EB%B9%84%EC%9C%A8%20%EB%B9%84%EA%B5%90%20%EC%97%B0%EA%B5%AC.pdf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480
2037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된 두 개의 주제 수원나그네 2018-03-28 1399
2036 서울역 목요 모임(마스크 필수) image 오리 2020-10-07 1401
2035 생명로드58 - 원전(핵발전소)이 기후위기의 대안이 될 수 없는 이유[동영상포함] image 1 수원나그네 2020-05-19 1402
2034 수학의 본질, 순간변화율 image 1 chow 2022-06-17 1402
2033 서울역 목요 모임(마스크 필수) image 오리 2020-09-23 1403
2032 생명로드48- 홍콩을 회상하며 1 수원나그네 2019-11-16 1407
2031 확실성의 구조론과 불확실성의 엔트로피 image chow 2022-06-09 1411
2030 생명로드53 - 유럽 첫순례를 마치며 image 2 수원나그네 2020-03-14 1413
2029 입자도 관계이다 현강 2020-07-27 1414
2028 땅값 집값 문제 8 - 땅은 물, 공기와 같은 것 수원나그네 2018-01-18 1416
2027 구조론 목요모임(강남역) image 1 오리 2020-06-25 1417
2026 땅값 집값 문제 9 - 보유세는 대세 수원나그네 2018-01-20 1420
2025 경험을 넘어서. 아제 2019-08-05 1420
2024 구조론 목요모임(강남역) image 2 오리 2020-06-17 1421
2023 다섯가지 집합 image 다음 2020-07-28 1425
2022 [경향] 비리 사학 비호하는 사법부 image 수원나그네 2018-03-31 1427
2021 정기후원 페이팔(paypal) 이용 안내 3 오리 2020-06-09 1427
2020 두 개의 반지 image 1 현강 2020-08-26 1429
2019 에너지와 통제 1 systema 2018-11-14 1430
2018 동음이의어에 대한 아이디어 오민규 2020-05-23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