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96 vote 0 2022.06.25 (19:09:24)

    세상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형태가 없다. 형태를 만들어야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에너지는 언제나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딱 걸린다. 빠져나갈 수 없는 절대적인 관문이 있다. 에너지가 법칙을 어길 수는 없다. 우리는 에너지의 약점을 추궁하여 우주의 진실을 파헤칠 수 있다.


    에너지는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흩어지는 것과 모이는 것이다. 수렴과 확산이 있다. 실제로는 수렴만 가능하다. 에너지가 흩어지려면 각운동량이 증가해야 한다. 각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흩어지는데 필요한 추가적인 힘을 조달하지 못한다. 그런데 반대로 모일 수는 있다.


    모이면 좁아지고 좁아지면 충돌하고 충돌하면 교착된다. 교착되어 움직임이 멈추면 관성력이 남는다. 그 남는 힘이 모이게 한다. 가속적으로 모을 수는 있다. 가속적으로 모일 수는 있는데 가속적으로 흩어지게 할 수는 없다. 다단계와도 같다. 한 사람이 두 사람을 모으고 두 사람에 네 사람을 모은다.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떠난 사람이 남아있는 사람을 떠나게 할 수는 없다. 먼저 취업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취업시킬 수는 있지만 이미 해고된 사람이 남아있는 사람을 자르는 수는 없다. 빛의 적색편이처럼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만 편향되게 움직인다. 의사결정할 수 있는 형태로만 의사결정한다.


    세상은 한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 하나의 원리로 우주 안의 모든 비밀을 낱낱이 해명할 수 있다. 문제는 인간의 인지 역시 편향성이 작동한다는 점이다. 인간은 지목할 수 있는 것을 지목하려고 한다. 대표적인 예가 원자론이다. 원자론은 세상은 인간이 지목할 수 있는 형태로 존재해야 한다고 우긴다.


    에너지는 형태가 없으므로 지목할 수 없다. 에너지를 지목하려면 사건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사건은 닫힌계를 제안한다. 닫힌계는 연결된 상태다. 그것이 에너지의 모이는 성질이다. 원자는 인간이 객체를 지목하려고 만든 가상의 존재다. 인간이 손가락으로 가리켜 지목할 대상이 있다고 전제한 것이다.


    허황된 관념이다. 에너지는 지목될 수 없다. 에너지는 사건을 구성하는 닫힌계안에서 지목된다. 사건이 성립해야 인간이 에너지를 가리킬 수 있다. 닫힌계 안에서 외력의 개입 없이 자발적으로 진행되는 사건은 수렴방향으로 움직인다. 확산이면 깨져서 열린계다. 열린계는 흩어지므로 추적할 수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8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5
5979 긍정어법 1 김동렬 2022-08-14 4548
5978 이준석의 몰락 김동렬 2022-08-13 4647
5977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2-08-12 4580
5976 이것이 윤석열 효과 image 1 김동렬 2022-08-12 4406
5975 질서도의 우위 김동렬 2022-08-11 3969
5974 폰트롤타워 윤석열 1 김동렬 2022-08-10 4518
5973 김건희 이준석 수수께끼는 풀렸다 김동렬 2022-08-10 4414
5972 자연과 권력 김동렬 2022-08-09 3772
5971 신은 누구인가? 3 김동렬 2022-08-08 4428
5970 구조론의 적 1 김동렬 2022-08-07 4132
5969 윤석열 죽음의 게임 김동렬 2022-08-07 4246
5968 이재명이 사는 법 2 김동렬 2022-08-06 4344
5967 이재명의 실책 1 김동렬 2022-08-06 4196
5966 조선일보 양상훈의 윤석열 심기관리 김동렬 2022-08-04 4466
5965 한국이 인류의 희망이다 1 김동렬 2022-08-03 4373
5964 힘을 이해하자 김동렬 2022-08-03 3555
5963 진중권 김종인 안철수 심상정 이준석 오적 김동렬 2022-08-03 3968
5962 제대로 하자. 대한민국 image 1 김동렬 2022-08-02 4144
5961 국뽕 걷어내고 한산의 실력은? 김동렬 2022-08-01 4101
5960 구조론에 중독되기 김동렬 2022-08-01 3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