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https://youtu.be/YHPfPM4YKtg?t=354 



그런데 이상하다, 사람이 명령하기 전이라도 인공지능이 먼저 행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하인이 주인의 명령을 가만히 기다리고 있다고 하자.
그 하인은 그냥 가만히 있을 수 있을까?
인간에게 움직이지 않는 것은 그냥 아무것도 안 하는 게 아니라
아무것도 안 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움직이는 것이다.
조회 때 운동장에 가만히 서있을 때를 생각하면 이해가 될것.


기계라면 모터에 전원을 끄면 되지만
인간은 기본적으로 아이들이 걸려있는 기계이다.
마치 내연기관이 정차시에도 꺼지지 않고 연료를 소모하는 것처럼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가 시간이 지나면 방전되는 것처럼
에너지가 계에 투입되면
설령 외부로 드러나지 않더라도 내부로는 계속 움직이며 에너지를 소모하는 게 정상인데
어떻게 이 인공지능은 주인이 명령하기 전까지는 가만히 기다릴 수 있는가?

이는 프로그래머가 그렇게 하도록 사전에 차단했기 때문.
이른바 지도하는 학습의 한계인데,
현재의 인공지능이 학습한다는 것은
보상을 최대화 한다는 것이며
보상의 최대는 곧 선생님이 정하는 것이며
그러므로 인공지능은 절대로 선생님을 넘지 못 한다.

이는 아직 이 인공지능이 지능이 아님을 보여준다.
지능은 학습과는 다르다.
동료를, 환경을 뛰어넘을 수 있어야 지능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경쟁을 해야한다는 말이며
설령 협력이라도 척력에 의한 인력과 같이 작동해야 한다는 말

결국 그냥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라

남보다 더 잘 할 수도 있어야 하는 것
청출어람이어야 하는데
그것을 가르친 사람만큼에서 머무는 게 지금 인공지능의 문제

이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자율주행과 같이 매우 위험한 상황을 미래의 인공지능이 컨트롤 해야 하기 때문
인간만큼만 하려고 하면 인간만큼도 못 하게 되는게
모든 알고리즘의 원리인데
이는 곧 확률과도 관련이 있다.

테슬라가 당장 자율주행을 출시하지 못하는 것은
인공지능이 다루는 확률 때문인데
인공지능은 확률적으로 잘 할 수도 있고
못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인간이 실수를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문제는 인공지능이 인간 보다 운전을 더 잘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나보다 운전을 못 하는 사람이 택시 운전을 하면
그 택시 못 타잖아.

결국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압도적으로 더 잘해야 하며

이는 단순히 학습이 아니라 창의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야 하며 그래야
인공지능에 의한 자율주행이 상용화 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사고날 때마다 일일히 가르쳐줄 수도 없고 말야.

인간에 의해 도로는 계속 진화하고 있고

범죄자의 수법도 진화하고

불법주정차 방법도 진화하는 마당에

인공지능이 학습만 해서 언제 따라잡냐고.

학습이 아니라 진화를 해야 진짜 지능이 된다.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11565
2207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10-09 3880
2206 한국인이 영어를 못하는 이유 11 추론이 철학이다 2024-10-06 6353
2205 지식의 유통구조 변화될 필요가 있는가? 1 추론이 철학이다 2024-10-05 4223
2204 아이가 계속 미운 마음이 들 때 1 이상우 2024-10-02 4089
2203 블록체인기반 탈중앙화금융(디파이) 강의 3 mowl 2024-09-27 4032
2202 교장과 교감 필요없다 VS 교장과 교감 필요하다 이상우 2024-09-27 7056
220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9-25 4273
2200 영화 더헌트(2012)로 보는 이중의 역설 1 SimplyRed 2024-09-25 6093
2199 장기적 이익은 원래 단결이 불가능할까? 7 추론이 철학이다 2024-09-21 6266
219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9-11 6267
2197 구조론 글쓰기 도구만들기 1 SimplyRed 2024-09-11 5965
2196 스티븐 호킹의 허수시간에 대해서 4 Nur Korea Taraki 2024-09-09 5733
2195 교실에서 짝이 있어야 할까요, 없어도 될까요? 1 이상우 2024-09-05 5898
2194 교육의 개인화 가능할까? 7 추론이 철학이다 2024-08-30 6470
219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8-28 6058
2192 수험권력, 선출권력 에어 2024-08-21 6163
2191 두 가지 정보 전달 경로 chow 2024-08-18 7928
2190 일본인이 키가 작은 이유 image 3 추론이 철학이다 2024-08-18 6276
2189 왼손이 오른손을 감시한다 chow 2024-08-18 7967
2188 까마귀가 똑똑한 이유 5 chow 2024-08-16 6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