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https://youtu.be/YHPfPM4YKtg?t=354 



그런데 이상하다, 사람이 명령하기 전이라도 인공지능이 먼저 행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하인이 주인의 명령을 가만히 기다리고 있다고 하자.
그 하인은 그냥 가만히 있을 수 있을까?
인간에게 움직이지 않는 것은 그냥 아무것도 안 하는 게 아니라
아무것도 안 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움직이는 것이다.
조회 때 운동장에 가만히 서있을 때를 생각하면 이해가 될것.


기계라면 모터에 전원을 끄면 되지만
인간은 기본적으로 아이들이 걸려있는 기계이다.
마치 내연기관이 정차시에도 꺼지지 않고 연료를 소모하는 것처럼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가 시간이 지나면 방전되는 것처럼
에너지가 계에 투입되면
설령 외부로 드러나지 않더라도 내부로는 계속 움직이며 에너지를 소모하는 게 정상인데
어떻게 이 인공지능은 주인이 명령하기 전까지는 가만히 기다릴 수 있는가?

이는 프로그래머가 그렇게 하도록 사전에 차단했기 때문.
이른바 지도하는 학습의 한계인데,
현재의 인공지능이 학습한다는 것은
보상을 최대화 한다는 것이며
보상의 최대는 곧 선생님이 정하는 것이며
그러므로 인공지능은 절대로 선생님을 넘지 못 한다.

이는 아직 이 인공지능이 지능이 아님을 보여준다.
지능은 학습과는 다르다.
동료를, 환경을 뛰어넘을 수 있어야 지능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경쟁을 해야한다는 말이며
설령 협력이라도 척력에 의한 인력과 같이 작동해야 한다는 말

결국 그냥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라

남보다 더 잘 할 수도 있어야 하는 것
청출어람이어야 하는데
그것을 가르친 사람만큼에서 머무는 게 지금 인공지능의 문제

이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자율주행과 같이 매우 위험한 상황을 미래의 인공지능이 컨트롤 해야 하기 때문
인간만큼만 하려고 하면 인간만큼도 못 하게 되는게
모든 알고리즘의 원리인데
이는 곧 확률과도 관련이 있다.

테슬라가 당장 자율주행을 출시하지 못하는 것은
인공지능이 다루는 확률 때문인데
인공지능은 확률적으로 잘 할 수도 있고
못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인간이 실수를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문제는 인공지능이 인간 보다 운전을 더 잘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나보다 운전을 못 하는 사람이 택시 운전을 하면
그 택시 못 타잖아.

결국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압도적으로 더 잘해야 하며

이는 단순히 학습이 아니라 창의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야 하며 그래야
인공지능에 의한 자율주행이 상용화 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사고날 때마다 일일히 가르쳐줄 수도 없고 말야.

인간에 의해 도로는 계속 진화하고 있고

범죄자의 수법도 진화하고

불법주정차 방법도 진화하는 마당에

인공지능이 학습만 해서 언제 따라잡냐고.

학습이 아니라 진화를 해야 진짜 지능이 된다.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80
1973 -학부모에게 쓴 글- 창의란 무엇인가? 4 오세 2010-09-09 6924
1972 노예의 길, 주인의 길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09-12-15 6918
1971 질문 - 의심과 믿음 image 21 김동렬 2013-01-16 6916
1970 권태. 1 아제 2010-09-18 6914
1969 가벼운 것이 더 빨리 떨어진다? 17 김동렬 2014-11-09 6896
1968 밀도는 질의 성질이다. 5 아제 2010-08-24 6863
1967 인간이 자살하는 이유 6 김동렬 2015-12-18 6822
1966 지성세력의 맡은 바- 소임[所任]의 구조 ░담 2010-05-26 6783
1965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776
1964 한국의 커뮤니티 눈내리는 마을 2010-04-04 6775
1963 구조론부흥대성회 image 17 양을 쫓는 모험 2011-12-13 6774
1962 설국열차의 진실은? image 4 김동렬 2013-07-31 6773
1961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01-02 6771
1960 연역과 귀납 5 아제 2010-02-20 6754
1959 덧붙이는 이야기 image 김동렬 2009-04-10 6751
1958 경쟁에 반대한다 Intro: 나는 가수다? image 14 오세 2011-03-14 6747
1957 나스카 지상화의 비밀 image 김동렬 2017-03-16 6738
1956 문자 사용하는 유인원들 8 LPET 2009-12-02 6737
1955 오랑캐와 오랑우탄 김동렬 2012-10-30 6718
1954 존재의 이유 image 13 양을 쫓는 모험 2010-03-18 6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