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46 vote 0 2022.04.01 (13:30:41)

    사건은 원인 아니면 결과다.
    철학은 사건의 원인측에 서는 것이다.
    결과측에 서는 과학과 다르다.
    원인측에서 인간이 얻는 것은 임무다.
    과학이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이라면 철학은 목적을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은 집단 안에서 역할을 획득하기를 원한다.
    그것이 인간이 추구하는 의미다.
    의미는 사건을 연결하며 그것이 인간에게 주어진 역할이다.
    연결은 만남으로 가능하고 만남은 열림으로 가능하다.
    인생은 역할, 만남, 열림, 연결, 의미다.
    먼저 자신의 역할을 찾아내고
    역할의 수행에 필요한 만남을 추구하고
    만나려면 먼저 자신을 열어야 하며
    그 결과는 더 큰 세계와의 연결이고
    그럴 때 인간은 전율하게 되는 것이며 그것이 인생의 의미다.
    사람들의 입으로 말해지는 행복, 쾌락, 명성, 성공, 재화 따위는 고양이의 놀이개와 같다.
    강아지를 훈련시킬 때 주는 간식과 같다.
    처음에는 간식을 얻어먹으려고 사람을 따르지만
    나중에는 훈련의 의미를 깨닫고 강아지가 먼저 앞장을 선다.
    인간은 행복, 쾌락, 명성, 성공, 재물 따위를 추구하다가
    역할, 만남, 열림, 연결, 의미를 깨닫게 되기도 하고
    혹은 끝내 깨닫지 못하기도 하는 것이다.
    인간의 욕망은 인간을 바른 길로 유인하는 장치에 불과하다.
    강을 건넜으면 뗏목을 버리듯이 행복, 쾌락, 명성, 성공, 재물 따위는 버려야 한다.
    인간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이다.
    의미는 내가 벌인 사건이 점점 커져서 세상을 덮어버리는 것이다.
    스티브 잡스가 만든 스마트폰이 세상을 삼키듯이 말이다.
    그럴 때 인간은 삶의 의미를 느끼고 전율한다.
    큰 틀에서의 방향판단이 중요한 것이며
    세부적인 것은 상호작용 중에 용해되므로 상관없다.
    인생에서 큰 판단은 많아야 다섯 번 정도다.
    그것은 자신이 소속될 부족을 정하는 것이다.
    진학과 취업과 결혼과 친구와 이념에서 그것은 정해진다.
    어느 부족에 소속될 것인가?
    탄생에서 많은 것이 정해진다.
    파부색과 성별과 외모는 어쩔 수 없다.
    진학과 취업과 결혼도 상당부분 어쩔 수 없는 것이다.
    실력이 모자라고 솔로를 탈출하지 못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결국 친구와 이념과 종교만 남는다.
    그것은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원인측은 내가 선택하는 것이며 결과측은 에너지 흐름에 휩쓸리는 것이다.
    IT붐이 뜨고 지는 것은 내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이 변하는 것이다.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변화를 능동적으로 선점할 것인가 수동적으로 방어할 것인가다.
    인생이라는 게임에서 공격수가 될 것인가 수비수가 될 것인가?
    진보가 공격수라면 보수는 수비수다.
    진보도 필요하고 보수도 필요하지만 특별히 배워야 하는 것은 진보다.
    보수는 그냥 난 반댈세 하고 외치면 된다.
    진보는 공부해서 라인을 잘 연결해야 한다.
    원인측에 서는 사람은 답을 알고 가야 한다.
    타인에게 말을 거는 사람은 공격수가 되어야 한다.
    진보는 연결하므로 말을 하면 되고 보수는 단절하므로 침묵하면 된다.
    인생에서 얻는 것은 임무밖에 없다.
    그 임무는 연결의 임무다.
    부모에서 자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전부다.

    인생에 궁극적으로 얻는 것은 패스를 전달할 친구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69
6061 신유물론 김동렬 2022-10-25 2628
6060 에너지의 다섯 차원 김동렬 2020-12-14 2629
6059 원자론과 구조론의 세계관 차이 2 김동렬 2021-02-12 2629
6058 목줄에 묶인 개 김동렬 2022-03-06 2632
6057 구조론의 개념들 1 김동렬 2020-07-25 2633
6056 차원의 전개 1 김동렬 2020-03-27 2635
6055 사이버트럭 무엇이 문제인가? 김동렬 2022-01-29 2635
6054 완전한 진리 1 김동렬 2021-09-21 2637
6053 사랑과 운명 김동렬 2023-12-25 2637
6052 구조론이 5로 설명되는 이유 1 김동렬 2020-08-14 2638
6051 차원의 해석 image 1 김동렬 2020-04-02 2642
6050 비겁한 지식인들 1 김동렬 2020-08-17 2643
6049 브루투스의 배신공식 김동렬 2022-02-14 2643
6048 게임과 권력 그리고 보상 1 김동렬 2020-08-17 2644
6047 과학 하기 싫다? 김동렬 2022-01-05 2644
» 인생의 의미 김동렬 2022-04-01 2646
6045 윤석열의 운명 김동렬 2022-05-03 2647
6044 어리석은 마르크스 김동렬 2022-09-20 2648
6043 왜 노무현주의가 뜨는가? 김동렬 2020-10-24 2651
6042 대칭은 비대칭이다 김동렬 2021-11-17 2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