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사람들이 윤석열이 대통령 된 것이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사실 윤석열이 대통령된 것이 문제가 아니라 검찰총장이 대통령이 된 것이 문제다. 김동연이나 최재형도 마찬가지이긴 하다. 현정부의 관료가 사퇴를 하고 대통령 선거에 나선다? 이렇게 하는 것이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을지는 몰라도 실질적인 사전선거운동과 다름이 없다.
조중동이 노무현 대통령한테 따졌던 것이 뭔가? 아마추어인사, 코드인사 아니었나? 그런데 지나고 보니 노무현 대통령때 중용된 주요한 인사들이 보수 정권하에서도 부름을 받더라.
그뿐인가? 앞으로는 협치고 뭐고 없다. 왜냐하면 현정부의 관료로 들어온다는 것은 개인적인 신념이 다르더라도 현정부의 정책방향과 일치하고 적어도 자신을 발탁해준 정부가 사익을 추구하고 고의적으로 불법을 저지르는 의도가 아니라면, 딴지는 걸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고 이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 들어온다. 그런데 위 세 사람은 공통적으로 현정부와 각을 세우고 대통령 후보로 나섰으니 앞으로 어떤 정부가 비록 정치적인 입장이 다르더라도 그 사람의 소신과 능력을 믿고 정부 조직의 일을 맡길 수 있겠는가?
이런 측면에서 앞으로 검찰의 역할이 참 미묘하게 되었다. 검찰출신 대통령이 나왔으니 대통령에게 충성 봉사해서 관료나 정치권에 줄을 대려고 안달날 수 밖에 없다. 반대로 전임 검찰총장이 상급자인 대통령과 각을 세워 대통령 자리를 꿰찼으니 자신도 대통령과 각을 세우지 않을 이유가 없다. 대통령과 각을 세울수록 자신의 국민적인 관심을 받게 되고 지지도는 올라간다. 본인이 안그렇게 하려고 해도 주변에서 검찰총장을 가만두질 않는다.
결국 차기 대통령은 매우 큰 약점을 잡아두지 않고는 검찰총장을 세우지 않을 것이다. 마치 무신정권하에서 정권을 잡은 무신이 자신의 자리를 빼앗을 무신들을 견제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대한민국은 늘 위험한 실험을 해왔다. 이제는 이 정도는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했을 때도 아직 극복할 것이 남았는지 과거의 잘못을 재현한다. 이것을 미리 예측하고도 막을 수 없어 참 답답한 노릇이지만, 그래도 대한민국이 살아있다는 증거이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다른 어느 나라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니 앞으로 5년 동안의 시간을 비관할 필요는 없겠다.
요즘 나를 보더라도 남탓하기 전에 나부터 각성하고, 뜻맞는 사람들과 힘을 모을 준비를 하고 있으니 말이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동렬님유튜브보고 풀어쓴 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88
1952 구글이 이러고 있다 하오. image 3 ░담 2009-12-08 6702
1951 솔로들은 못맞추는 문제 image 19 오세 2012-12-24 6674
1950 아빠 어디가, 사승봉도가 무인도? image 1 김동렬 2013-08-19 6659
1949 올드보이 원작만화 해설 김동렬 2017-02-18 6652
1948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image 7 꼬치가리 2011-01-10 6652
1947 모든 구조의 구조 (서점리뷰) 6 lpet 2010-09-27 6649
1946 당신들이 밉습니다. 10 가혹한너 2008-08-28 6630
1945 김동렬님 제가 구조론에 입각하여 쓴 글입니다 4 가혹한너 2009-02-04 6629
1944 몸캠피싱의 문제 image 4 김동렬 2014-11-06 6614
1943 의미는 상황이다. 1 아제 2010-07-16 6611
1942 지구둘레길 6 지여 2011-01-24 6605
1941 바그다드 까페 image 11 김동렬 2013-10-20 6596
1940 한국인의 뿌리는 흉노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6575
1939 구조론연구소 홍보동영상 12 기준님하 2010-03-22 6562
1938 선은 굵을수록 좋다 image 2 김동렬 2013-11-25 6546
1937 [업뎃] 영단어, 아기처럼 생각하라! image 8 조영민 2010-05-03 6543
1936 외계인은 없다. 9 김동렬 2015-07-21 6539
1935 맘에 드는 작품을 찾아보세요. image 10 김동렬 2013-10-27 6524
1934 기독교란 대체 무엇인가? 3 오세 2009-11-07 6524
1933 비분강개: 법륜의 노망에 답한다 15 오세 2013-02-09 6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