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20 vote 1 2022.02.25 (13:05:42)

    인류의 문명은 과학에 의지하고, 과학은 수학에 의지하고, 수학은 인과율에 의지한다. 원인과 결과의 판단은 관측자가 기준이다. 수학은 인간이 자를 들고 사물에 접촉해서 정보를 캐는 것이다. 인간의 개입에 따른 상대성이 오류를 일으킨다. 관측하면 왜곡되는 양자역학과 같다. 


    그게 구조론에서 말하는 자기소개다. 구조론은 원인과 결과의 단선적 논리에서 본질과 현상의 입체적 논리로 갈아타나는 것이다. 판단기준이 되는 척도가 대상 자체에 있어야 한다. 본질과 현상의 논리는 외부 관측자의 개입을 배제하고 대상 자체의 내부적인 논리를 따른다.


    원인과 결과는 평등하다. 링 위의 두 선수와 같다. 쓰러뜨린 자가 원인측이고 쓰러진 자가 결과측이다. 때린 자가 먼저 움직였지만 맞은 자에게도 선빵을 날릴 기회는 있었다. 반면 본질과 현상은 평등하지 않다. 본질은 배후의 보이지 않는 손이다.


    게임의 주최측이 개입하면 승부조작이다. 이길 선수가 이겨야 흥행이 된다. 주최측은 흥행이 되는 선수가 승리하기 바란다. 두 개의 논리가 있다. 원인과 결과의 논리 그리고 본질과 현상의 논리다. 인류는 원인과 결과의 논리 하나로 여기까지 왔다.


    승객이 돈을 지불했기 때문에 버스가 간다는 것은 원인과 결과의 논리다. 이때 원인측과 결과측은 열린 공간에 있다. 엔진이 돌기 때문에 바퀴가 구른다는 것은 본질과 현상의 논리다. 이때 본질측과 현상측은 버스라는 닫힌 공간에 안에 있다.


    시간이냐 공간이냐다. 인과율은 공간을 열어놓고 시간을 따라간다. 본질과 현상은 시간을 닫아놓고 공간의 층위를 추적한다. 버스의 엔진과 바퀴는 동시에 구른다. 시간적인 일치상태에서 공간의 층위를 추적하는 것이다. 원인과 결과는 둘밖에 없다.


    단어 두 개로 세상을 설명하기는 무리다. 본질과 현상으로 보면 체계, 코어, 대칭, 변화, 현상으로 가지를 친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을 이룬다. 체계가 갖추어져 있고 내부에 축이 있으며 대칭이 또다른 대칭으로 옮겨가는 변화과정에 현상이 드러난다.


    원인과 결과로 보면 제자리를 맴도는 순환의 오류를 저지른다. 본질과 현상으로 보면 널리 연결된다. 더 큰 단위로 도약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564
6146 정균환으로 변해버린 박상천 image 김동렬 2003-05-14 14597
6145 해방 50년사를 돌아보며 김동렬 2003-05-15 19834
6144 독자의 반론에 대하여 김동렬 2003-05-15 9171
6143 김근태의 통개당이 떴다. 김동렬 2003-05-15 14108
6142 장신기는 입장을 분명히 하라 김동렬 2003-05-15 13803
6141 논객인가 정치인인가..(인터넷 논객의 몰가치적인 정치적 글쓰기) 스피릿 2003-05-16 13003
6140 서프 편집진의 비굴한 주석달기.. 스피릿 2003-05-16 16703
6139 [펌]마케터의 글인디.. ^^ 홍삿갓. 2003-05-16 13690
6138 김근태 대통령은 없다 김동렬 2003-05-17 13140
6137 왜 박상천이 수구인가? 김동렬 2003-05-17 16878
6136 노무현은 변하지 않았다. 김동렬 2003-05-19 14123
6135 맹구 국회의원 신기남선수 병살타 치다 image 김동렬 2003-05-20 14823
6134 노무현 지지와 지지자 사이 김동렬 2003-05-20 14403
6133 송골매 image 김동렬 2003-05-21 15545
6132 유시민/노무현 김동렬 2003-05-22 20154
6131 진중권과의 지는 싸움을 준비하며 김동렬 2003-05-22 16820
6130 미늘은 시퍼렇게 날을 세운채 기다리고 있는데 김동렬 2003-05-23 17527
6129 진중권의 거듭되는 거짓말 김동렬 2003-05-23 17843
6128 노무현의 꼼수 꿰뚫어보기 김동렬 2003-05-23 15154
6127 역사는 반복된다. 반복되지 않는다. 김동렬 2003-05-23 15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