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62 vote 0 2022.02.23 (19:14:59)

    도무지 어디서부터 이야기를 풀어갈 것인가? 자연은 낳는다. 생명은 탄생으로부터 시작된다. 무생물 역시 탄생으로부터 시작된다. 산불이 일어나거나 태풍이 발생하거나 화산이 폭발하거나 그것은 일정한 조건에서 갑자기 탄생한다. 기독교의 창세기를 떠올려도 좋다. 태초에 탄생이 있었다. 그리고 복제된다.


    과학은 원자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원자 개념은 수학의 아이디어를 차용한 것이다. 숫자는 1에서 시작한다. 자연수 1은 쪼갤 수 없는 가장 작은 크기의 숫자다. 원자의 성질과 같다. 숫자는 둘을 비교하는 것이다. 1은 비교기준이다. 1의 탄생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는다. 수학은 탄생 이후에 적용되는 논리다. 원자론은 얼버무린 말이다.


    구조론은 복제한다. 복제하게 하는 것은 완전성이다. 불완전한 것은 복제하지 못한다. 태초에 완전성이 있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은 정보다. 정보를 낳는 것은 변화다. 변화를 낳는 것은 의사결정이다. 의사결정을 낳는 것은 대칭의 코어다. 대칭의 코어를 낳는 것은 장이다. 장은 연결이다. 만유는 연결에서 시작되고 단절에서 종결된다.


    구조론은 만유의 연결을 질, 코어를 입자, 의사결정을 힘, 변화를 운동, 정보를 량이라고 부른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합쳐져서 원자를 대체한다. 이것은 모든 복제와 탄생에 공통되는 규칙이다. 아기의 탄생은 엄마와 아빠의 연결로 시작된다. 전구는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의 연결로 켜진다. 범종과 당목이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연결 없이 탄생 없다. 자연계의 모든 변화는 하나의 균형에서 또다른 균형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그것은 어떤 둘의 연결로 가능하다. 연결의 조건이 밸런스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에너지의 방향전환에 따른 연결과 단절로 설명할 수 있다. 모든 생각은 이 하나의 모형을 복제하는 것이다. 그냥 생각하는게 아니다. 감각적으로 이 구조에 대입하여 풀어내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18 21세기 천동설 김동렬 2023-10-02 2252
517 긍정어법의 어려움 김동렬 2023-12-20 2251
516 인간의 응답 김동렬 2023-11-16 2250
515 변화의 세계관 김동렬 2022-12-27 2250
514 김성근 허문회의 주술야구 1 김동렬 2022-05-02 2249
513 윤석열 잘 들어라. 2 김동렬 2024-03-27 2243
512 시스템적 아이디어 김동렬 2023-04-18 2243
511 동학과 의병의 진실 김동렬 2022-06-23 2240
510 민주당 배신의 정치 김동렬 2022-04-30 2239
509 보편원리 김동렬 2022-10-24 2235
508 힘의 마술 김동렬 2023-09-13 2233
507 마동석 액션 1 김동렬 2022-07-04 2233
506 민주주의는 라이플이다 김동렬 2022-05-24 2233
505 동기론과 게임론 김동렬 2023-05-12 2230
504 본질과 도구 김동렬 2022-04-14 2230
503 빛은 왜 빠른가? 김동렬 2022-09-26 2228
502 게임의 구조 김동렬 2023-05-05 2226
501 유통기한 소비기한 김동렬 2022-11-23 2224
500 공룡의 의미 image 김동렬 2023-03-21 2222
499 인간은 직관의 동물이다 김동렬 2022-04-21 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