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15 vote 1 2022.01.20 (11:27:22)

    세상은 상호작용이다. 긴밀하게 맞물려 돌아간다. 하나가 아니고 둘이다. 일방향이 아니고 쌍방향이다. 반은 내 책임이고 반은 상대방 책임이다. 그것이 에너지의 모습이다. 에너지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우리는 문제를 해결한다. 쌍방향을 일방향으로 바꾸는 것이 문제의 해결이다. 에너지의 확산방향을 수렴방향으로 바꾸는 방법으로 인류는 전진한다.


    문제는 서로 떨어져 있다는 점이다. 간격이 벌어져 있다. 고립되어 있다. 쉽게 섞이지 않는다. 이질적이다. 서로 마찰하게 된다. 피부색으로, 성별로, 지역으로, 학력으로, 외모로, 실력으로, 매력으로 칸이 나누어져 있다.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고 있다. 에너지의 방향이 모순된다. 도처에서 충돌한다. 어색하게 서서 눈치를 보며 겉돌고 있다. 극복해야 한다. 손에 손잡고 한 방향으로 가야 한다. 억지로 방향을 틀면 사람이 다친다.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가 깨진다. 기어가 파손된다.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고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주어진 임무 앞에서는 하나가 되는 좋은 방법은 없을까? 있다. 강체를 유체로 만들면 된다. 그 단계에서는 안 되고 더 높은 단계에서는 가능하다. 구대륙은 안 되고 신대륙은 가능하다. 기성세대는 안 되고 젊은이는 가능하다. 이념타령 하며 말로 때우는 정신승리로는 안 되고 현장에서 답을 찾는 산업승리로는 가능하다. 골방에서는 안 되고 광장에서는 가능하다. 소승으로는 안 되고 대승으로는 가능하다. 원맨쇼로는 안 되고 팀플레이로는 가능하다. 한 명의 메시아로는 안 되고 중간허리의 발달로는 가능하다.


    궁극적으로는 생산력의 혁신으로 가능하다. 그것을 증폭시키는 지식과 문화와 미디어와 광장이 일정부분 기능하지만 생산력이 본질이고 나머지는 말단의 증폭장치에 불과하다. 본말이 전도되면 좋지 않다. 잠시 되는듯 하다가 물리적 한계에 봉착한다.


    무에서 유가 나올 수 없다. 궁극적으로 주어진 자원들의 위치를 바꾸고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된다. 강체는 조절되지 않으나 유체는 조절된다. 구도심은 꽉 차서 조절되지 않으나 신도시는 배후지가 열려 있으므로 조절된다. 구대륙은 기득권이 완강하게 버티므로 조절되지 않으나 신대륙은 방해자가 없으므로 조절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672
5744 첫 단추를 꿰는 문제 김동렬 2022-02-23 2283
5743 이재명과 진보세력 image 김동렬 2022-02-23 2871
5742 안철수의 선택 1 김동렬 2022-02-21 3441
5741 인간들에게 하는 말 김동렬 2022-02-21 2519
5740 부끄러움을 모르는 한국인들 image 김동렬 2022-02-20 3249
5739 세상은 변화다. 김동렬 2022-02-19 2367
5738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넘어 김동렬 2022-02-18 2177
5737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것 김동렬 2022-02-18 2459
5736 미국이 전쟁에 지는 이유 김동렬 2022-02-17 2675
5735 그림의 실패 image 김동렬 2022-02-17 2911
5734 입자냐 파동이냐 김동렬 2022-02-16 2160
5733 인간의 길(업데이트) 김동렬 2022-02-16 2408
5732 불확정성의 원리 2 김동렬 2022-02-14 4141
5731 브루투스의 배신공식 김동렬 2022-02-14 2651
5730 인간이냐, 짐승이냐? 1 김동렬 2022-02-13 2733
5729 인간이 퇴행하는 이유 김동렬 2022-02-12 2847
5728 사진을 찍다 image 김동렬 2022-02-11 2732
5727 이거 아니면 저거다 2 김동렬 2022-02-11 2687
5726 대선 한 달 앞. 이재명의 전략은? 1 김동렬 2022-02-11 2811
5725 문재인 죽이기 시작됐다 3 김동렬 2022-02-09 3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