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30 vote 1 2022.01.20 (11:27:22)

    세상은 상호작용이다. 긴밀하게 맞물려 돌아간다. 하나가 아니고 둘이다. 일방향이 아니고 쌍방향이다. 반은 내 책임이고 반은 상대방 책임이다. 그것이 에너지의 모습이다. 에너지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우리는 문제를 해결한다. 쌍방향을 일방향으로 바꾸는 것이 문제의 해결이다. 에너지의 확산방향을 수렴방향으로 바꾸는 방법으로 인류는 전진한다.


    문제는 서로 떨어져 있다는 점이다. 간격이 벌어져 있다. 고립되어 있다. 쉽게 섞이지 않는다. 이질적이다. 서로 마찰하게 된다. 피부색으로, 성별로, 지역으로, 학력으로, 외모로, 실력으로, 매력으로 칸이 나누어져 있다.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고 있다. 에너지의 방향이 모순된다. 도처에서 충돌한다. 어색하게 서서 눈치를 보며 겉돌고 있다. 극복해야 한다. 손에 손잡고 한 방향으로 가야 한다. 억지로 방향을 틀면 사람이 다친다.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가 깨진다. 기어가 파손된다.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고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주어진 임무 앞에서는 하나가 되는 좋은 방법은 없을까? 있다. 강체를 유체로 만들면 된다. 그 단계에서는 안 되고 더 높은 단계에서는 가능하다. 구대륙은 안 되고 신대륙은 가능하다. 기성세대는 안 되고 젊은이는 가능하다. 이념타령 하며 말로 때우는 정신승리로는 안 되고 현장에서 답을 찾는 산업승리로는 가능하다. 골방에서는 안 되고 광장에서는 가능하다. 소승으로는 안 되고 대승으로는 가능하다. 원맨쇼로는 안 되고 팀플레이로는 가능하다. 한 명의 메시아로는 안 되고 중간허리의 발달로는 가능하다.


    궁극적으로는 생산력의 혁신으로 가능하다. 그것을 증폭시키는 지식과 문화와 미디어와 광장이 일정부분 기능하지만 생산력이 본질이고 나머지는 말단의 증폭장치에 불과하다. 본말이 전도되면 좋지 않다. 잠시 되는듯 하다가 물리적 한계에 봉착한다.


    무에서 유가 나올 수 없다. 궁극적으로 주어진 자원들의 위치를 바꾸고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된다. 강체는 조절되지 않으나 유체는 조절된다. 구도심은 꽉 차서 조절되지 않으나 신도시는 배후지가 열려 있으므로 조절된다. 구대륙은 기득권이 완강하게 버티므로 조절되지 않으나 신대륙은 방해자가 없으므로 조절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3128
5827 양향자의 배신 1 김동렬 2022-04-27 2479
5826 웃기고 자빠진 롤리타 김동렬 2022-04-26 2508
5825 존재의 핸들은 무엇인가? 김동렬 2022-04-26 1777
5824 모든 언론은 적이다 김동렬 2022-04-26 1992
5823 인간은 권력지향적 존재다 김동렬 2022-04-25 2138
5822 과학의 알파와 오메가 1 김동렬 2022-04-24 2204
5821 질문과 답변 김동렬 2022-04-23 2039
5820 검수완박 심심한 성과 김동렬 2022-04-23 2642
5819 본질지향에서 도구지향으로 김동렬 2022-04-23 1879
5818 한국의 생태적 지위 1 김동렬 2022-04-22 2776
5817 인간은 직관의 동물이다 김동렬 2022-04-21 2312
5816 러시아 막기는 쉽다 김동렬 2022-04-20 2367
5815 검수완박 대환영 윤석열 1 김동렬 2022-04-20 2426
5814 촘스키의 타락 11 김동렬 2022-04-18 3110
5813 사람을 사냥하는 진중권들 김동렬 2022-04-17 2564
5812 본질을 넘어 도구로 김동렬 2022-04-15 2096
5811 본질과 도구 김동렬 2022-04-14 2272
5810 비겁한 한국인들 1 김동렬 2022-04-14 3192
5809 인간을 이해하라 김동렬 2022-04-13 2194
5808 잘 사는 방법 김동렬 2022-04-13 2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