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95 vote 0 2022.01.17 (18:20:04)

    인간은 도무지 생각이라는 것을 할 줄 모른다. 생각한다는 것은 칼로 도마 위의 생선을 내려치는 것이다. 잣대로 대상과 접촉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그 한순간에 주체와 과정과 대상이 나란해야 한다. 동시에 맞물려야 한다. 내가 갑이 되어야 한다. 대상을 장악하고 능동적으로 타격하는 것이다. 그렇게 못한다. 


    대개 섬긴다. 주워섬기는 것이다. 톱니가 맞물리지 않으면 겉돌게 되고 겉돌면 이탈한다. 이탈하지 않게 붙잡아 두려면 머리에 이고 가는 수밖에 없다. 대상을 앞세우는 것이다. 인간 앞에 서면 의인화된다. 인격이 부여된다. 명령권자가 된다. 이성이든 도덕이든 윤리든 정의든 공정이든 사랑이든 행복이든 그렇다.


    페미든 자유든 민주든 신이든 도깨비든 인간 위에 군림하면 우상이다. 이성이 인간에 앞서면 우상이다. 사건은 원인 아니면 결과다. 인간은 원인과 결과 사이에 의사결정구조를 모른다. 아는 단어가 원인과 결과 둘뿐일 때 무언가 주장하려면 대상에 원인 포지션을 부여하는 수밖에 없다. 그렇게 우상이 되는 것이다. 


    동기, 목적, 야망, 탐욕, 쾌락, 도덕, 윤리, 정의, 행복, 사랑이 모두 우상이다. 술어를 주어로 바꾸는 즉 우상이 된다. 나란히 가며 맞물려 돌아야 한다. 새는 날개로 가지만 날개를 섬기지 않는다. 자동차는 바퀴로 가지만 바퀴를 섬기지 않는다. 자유든 정의든 이념이든 이성이든 동기든 목적이든 그건 도구에 불과하다.


    도구를 넘어서는 즉 우상이다. 언어는 주어와 술어다. 용언과 체언이다. 인간의 사유는 이 정도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인간의 언어에는 메커니즘을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이 없다. 상호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언어가 없다. 게임을 나타낼 수 있는 언어가 없다. 맞물려 돌아가는 상황을 나타낼 수단이 없다. 우상화 된다. 


    인간의 행동은 반응하기 때문이다. 위하여는 죄다 거짓말이다. 상대의 반응에 의하여다. 톱니의 맞물림에 의하여다. 인간은 그저 반응을 끌어내고 그것을 조절하는 것이다. 우리는 사랑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상대가 반응하지 않으면 사랑이고 자시고 어떻게 해볼 수단이 없는 것이다. 


    혼자 뭘 어떻게 한다는 건가? 믿는다는 말도 그렇다. 기도를 하고 염불을 하면 그게 믿는 것인가? 사랑이든 믿음이든 상호작용이라야 한다. 톱니가 맞물려 돌아야 한다. 반응이 있어야 한다. 소리가 나지 않는 악기를 연주하는 것은 사랑도 아니고 믿음도 아니다. 그런데 반응이 천천히 온다면? 반응을 느끼지 못하면?


    관념, 이념, 이성, 주의, 이즘, 이데올로기는 죄다 거짓말이다. 반응이 약하거나 느리기 때문에 우상이 사용되는 것이다. 도구를 장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응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에너지의 용틀임을 감지하는 눈을 얻어야 한다. 반응은 보인다. 어부는 물고기 떼가 몰려오는 모습을 십 리 밖에서 알아채곤 한다.


    역사의 반응을 감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우둔하기 때문이다. 낚시꾼은 찌의 반응을 재빨리 포착한다. 이성이라는 우상을 섬기지 말고 반응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그것은 이성도 아니고 감성도 아니고 그 모든 것을 넘어서는 것이다. 


[레벨:11]큰바위

2022.01.18 (06:42:58)

나는 머리가 좋은 것이 아니다. 문제가 있을 때 다른 사람보다 좀 더 오래 생각할 뿐이다. - 아인슈타인

당신들은 보고 있어도 보고 있지 않다. 그저 보지만 말고 생각하라. 표면적인 것 배후에 숨어 있는 놀라운 속성을 찾으라. - 파블로 피카소


일년에 두세 번 생각하는 사람도 거의 없다. 나는 일주일에 한번 생각을 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 조지 버나드 쇼


사람들은 생각하기를 죽기보다 싫어한다. - 버트란트 러셀


우리는 우리가 기억하는 것들을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들을 기억한다. -제래드 쿠니 호바스


인간은 도무지 생각이라는 것을 할줄 모른다. 생각한다는 것은 칼로 도마 위의 생선을 내려치는 것이다. - 김동렬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1700
1466 명낙대전은 이재명에 유리한 싸움 김동렬 2021-08-16 3266
1465 세상이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가? 1 김동렬 2020-06-11 3265
1464 인간은 왜 자유의지를 추구하는가? 1 김동렬 2019-03-04 3265
1463 부끄러움을 모르는 한국인들 image 김동렬 2022-02-20 3264
1462 타인에게 말걸기 김동렬 2021-10-06 3264
1461 조국과 곽상도의 공정 2 김동렬 2021-09-30 3264
1460 중간단계 화석은 없다. 김동렬 2020-11-22 3263
1459 신의 죽음 김동렬 2023-05-07 3262
1458 철학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7-19 3262
1457 민주당 이 정도면 선전했다 2 김동렬 2022-06-02 3259
1456 이수정의 삽질에는 이유가 있다 김동렬 2021-02-24 3258
1455 부정에서 긍정으로 1 김동렬 2020-11-19 3257
1454 공자의 술이부작과 온고지신 1 김동렬 2020-07-14 3257
1453 아킬레스와 거북이 1 김동렬 2019-12-25 3257
1452 엔트로피와 구조론 1 김동렬 2019-06-14 3257
1451 세상을 바꾸는 자 1 김동렬 2019-08-26 3256
1450 의리가 있어야 산다 1 김동렬 2018-10-25 3256
1449 철학과 인간 1 김동렬 2020-12-23 3255
1448 손자병법의 실패 1 김동렬 2019-11-12 3255
1447 의사결정비용의 문제 1 김동렬 2018-12-03 3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