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774 vote 0 2009.02.02 (21:30:21)

12.GIF

이 세상의 그 어떤 정밀한 기계장치라도 단지 다섯개의 저울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다. 다섯 개의 저울은 각각 입력, 저장, 제어, 연산, 출력을 구성한다. 각각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가장 복잡한 기계라면 3만개의 부품이 집적되어 만들어지는 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원리는 간단하다. 위험한 개솔린을 통제하는 방법이 복잡할 뿐 메커니즘은 지극히 단순하다.

가장 단순한 자동차는 물로 가는 자동차다. 수력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물시계가 곧 물로 가는 자동차임을 알 수 있다. 단지 바퀴가 지면에 닿는가 시계의 숫자판에 닿는가의 차이 뿐이다.

물시계나 태엽시계나 원리는 같다. 시계는 다섯개의 저울로 되어 있다. 하나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물론 심도 움직인다. 그러나 날에 대한 상대적인 관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바퀴축이 고정되므로 바퀴가 회전하듯이 천칭저울의 두 날이 움직이므로 축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진정한 축은 지구중력이다. 중력이 움직여서 축도 움직인다. 심이 움직여 날의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저울이다.

시계는 몸통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태엽을 감을 수 있다. 몸통이 하나의 심이면 태엽은 두 날이다. 곧 저울이 된다. 태엽의 한쪽 날은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한다. 손가락에 지문이 있으므로 태엽에도 깔쭈기가 있다.

태엽의 반대편 날은 스프링을 감는다. 이로서 하나의 저울이 성립하며 같은 패턴이 스프링의 저장, 걸쇠의 제어, 기어의 연산, 시계바늘의 출력으로 5회 반복된다. 역시 움직이지 않는 1과 움직이는 2로 구성된다.

스프링은 움직이지 않지만 추를 움직이게 한다. 추는 하나이지만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므로 두 날이 되니 심 1과 날 2가 성립한다. 몸통과 태엽이 입력장치라면, 스프링과 추는 저장장치다.

스프링은 태엽이 보낸 정보를 저장하고 추는 그 정보를 꺼낸다. 그리고 제어장치의 걸쇠와 바퀴가 속도를 제어하고, 연산장치의 기어가 전달하며, 출력장치의 바늘이 숫자판에 출력한다.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93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7
6479 일단은 노무현의 패배다. image 김동렬 2003-09-03 16712
6478 Re.. 서프라이즈에도 올리지..참 그 날자는 언제? 김동렬 2002-11-26 16699
6477 정몽준 베이스캠프 철수하려나? image 김동렬 2002-10-23 16692
6476 [속보] 김영삼씨, 조선일보에 선전포고!!! image 김동렬 2003-06-13 16691
6475 인생의 정답 image 6 김동렬 2012-02-05 16690
6474 수동식 휴대폰 충전기 image 김동렬 2003-05-01 16684
6473 사설강원을 오픈합니다. 김동렬 2006-05-26 16683
6472 1에 2를 넣는 다섯 가지 방법 image 김동렬 2011-06-23 16677
6471 김정일, 올해를 무사히 넘길 것인가? 김동렬 2006-07-05 16677
6470 3시 현재 2프로 앞서고 있음, 김동렬 2002-12-19 16671
6469 구조적 관점 김동렬 2010-11-12 16669
6468 노무현 대통령은 왜? 김동렬 2007-09-13 16666
6467 학문의 역사를 내면서 김동렬 2007-09-11 16664
6466 박상천체제 출범 감축드리옵니다. image 김동렬 2003-09-22 16661
6465 인생의 롤러코스터 image 김동렬 2011-07-19 16660
6464 이해찬으로 한번 싸워보자! 김동렬 2004-06-08 16659
6463 학문의 역사 - 서구의 남성성과 동양의 여성성 김동렬 2006-01-23 16645
6462 추미애 오판하다 image 김동렬 2003-04-28 16643
6461 이회창이 보는 대선 한표의 가격은 무림거사 2002-12-08 16639
6460 잡다한 이야기 김동렬 2009-09-14 16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