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833 vote 0 2009.02.02 (21:30:21)

12.GIF

이 세상의 그 어떤 정밀한 기계장치라도 단지 다섯개의 저울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다. 다섯 개의 저울은 각각 입력, 저장, 제어, 연산, 출력을 구성한다. 각각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가장 복잡한 기계라면 3만개의 부품이 집적되어 만들어지는 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원리는 간단하다. 위험한 개솔린을 통제하는 방법이 복잡할 뿐 메커니즘은 지극히 단순하다.

가장 단순한 자동차는 물로 가는 자동차다. 수력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물시계가 곧 물로 가는 자동차임을 알 수 있다. 단지 바퀴가 지면에 닿는가 시계의 숫자판에 닿는가의 차이 뿐이다.

물시계나 태엽시계나 원리는 같다. 시계는 다섯개의 저울로 되어 있다. 하나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물론 심도 움직인다. 그러나 날에 대한 상대적인 관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바퀴축이 고정되므로 바퀴가 회전하듯이 천칭저울의 두 날이 움직이므로 축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진정한 축은 지구중력이다. 중력이 움직여서 축도 움직인다. 심이 움직여 날의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저울이다.

시계는 몸통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태엽을 감을 수 있다. 몸통이 하나의 심이면 태엽은 두 날이다. 곧 저울이 된다. 태엽의 한쪽 날은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한다. 손가락에 지문이 있으므로 태엽에도 깔쭈기가 있다.

태엽의 반대편 날은 스프링을 감는다. 이로서 하나의 저울이 성립하며 같은 패턴이 스프링의 저장, 걸쇠의 제어, 기어의 연산, 시계바늘의 출력으로 5회 반복된다. 역시 움직이지 않는 1과 움직이는 2로 구성된다.

스프링은 움직이지 않지만 추를 움직이게 한다. 추는 하나이지만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므로 두 날이 되니 심 1과 날 2가 성립한다. 몸통과 태엽이 입력장치라면, 스프링과 추는 저장장치다.

스프링은 태엽이 보낸 정보를 저장하고 추는 그 정보를 꺼낸다. 그리고 제어장치의 걸쇠와 바퀴가 속도를 제어하고, 연산장치의 기어가 전달하며, 출력장치의 바늘이 숫자판에 출력한다.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06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705
6509 미라이 공업의 경우 김동렬 2008-02-01 16881
6508 이회창 벌써 치매증세가 왔다는데 김동렬 2002-10-28 16881
6507 인간 노무현의 운명 10 김동렬 2009-05-25 16880
6506 위기의 강금실 image 김동렬 2004-02-13 16844
6505 살빼실분 이회창 후보 찍으세요 황인채 2002-12-04 16844
6504 진화형 이론모형 1 김동렬 2010-07-13 16840
6503 美, 로마와 놀라울 만큼 닮았다 김동렬 2002-09-24 16836
6502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9-05-16 16835
6501 그래. 논객자격을 위조했다. 어쩌라고. 김동렬 2007-08-26 16833
6500 김완선의 눈 아다리 2002-10-04 16819
6499 김석수, 류가미들의 폭력 김동렬 2007-08-28 16817
6498 김기덕의 비몽 image 김동렬 2008-10-17 16814
6497 Re.. 그 뜻은 말이지요.. ^^ 시민K 2002-11-16 16813
6496 김영삼은 멸치 어장 팔아라 image 김동렬 2003-09-24 16804
6495 중력과 관련한 image 2 김동렬 2010-10-07 16803
6494 연역모형의 완성 image 3 김동렬 2011-03-09 16775
6493 시를 제대로 쓰는 방법 김동렬 2013-02-06 16772
6492 서프 편집진의 비굴한 주석달기.. 스피릿 2003-05-16 16768
6491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김동렬 2010-07-15 16765
6490 IMF 5년의 진실 image 김동렬 2003-06-05 16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