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723 vote 0 2009.02.02 (21:30:21)

12.GIF

이 세상의 그 어떤 정밀한 기계장치라도 단지 다섯개의 저울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다. 다섯 개의 저울은 각각 입력, 저장, 제어, 연산, 출력을 구성한다. 각각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가장 복잡한 기계라면 3만개의 부품이 집적되어 만들어지는 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원리는 간단하다. 위험한 개솔린을 통제하는 방법이 복잡할 뿐 메커니즘은 지극히 단순하다.

가장 단순한 자동차는 물로 가는 자동차다. 수력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물시계가 곧 물로 가는 자동차임을 알 수 있다. 단지 바퀴가 지면에 닿는가 시계의 숫자판에 닿는가의 차이 뿐이다.

물시계나 태엽시계나 원리는 같다. 시계는 다섯개의 저울로 되어 있다. 하나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물론 심도 움직인다. 그러나 날에 대한 상대적인 관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바퀴축이 고정되므로 바퀴가 회전하듯이 천칭저울의 두 날이 움직이므로 축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진정한 축은 지구중력이다. 중력이 움직여서 축도 움직인다. 심이 움직여 날의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저울이다.

시계는 몸통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태엽을 감을 수 있다. 몸통이 하나의 심이면 태엽은 두 날이다. 곧 저울이 된다. 태엽의 한쪽 날은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한다. 손가락에 지문이 있으므로 태엽에도 깔쭈기가 있다.

태엽의 반대편 날은 스프링을 감는다. 이로서 하나의 저울이 성립하며 같은 패턴이 스프링의 저장, 걸쇠의 제어, 기어의 연산, 시계바늘의 출력으로 5회 반복된다. 역시 움직이지 않는 1과 움직이는 2로 구성된다.

스프링은 움직이지 않지만 추를 움직이게 한다. 추는 하나이지만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므로 두 날이 되니 심 1과 날 2가 성립한다. 몸통과 태엽이 입력장치라면, 스프링과 추는 저장장치다.

스프링은 태엽이 보낸 정보를 저장하고 추는 그 정보를 꺼낸다. 그리고 제어장치의 걸쇠와 바퀴가 속도를 제어하고, 연산장치의 기어가 전달하며, 출력장치의 바늘이 숫자판에 출력한다.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862
2021 예수의 언어 2 김동렬 2020-06-18 3774
2020 18개 상임위를 민주당이 가져야 한다. image 5 김동렬 2020-06-19 3463
2019 언어가 중요하다. 1 김동렬 2020-06-19 3434
2018 국가와 사회와 개인의 정답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6-21 2940
2017 자기규정이 정답이다. 5 김동렬 2020-06-21 3731
2016 인간의 운명 1 김동렬 2020-06-21 3408
2015 군자론 2 김동렬 2020-06-22 3472
2014 강정호와 기레기의 진정성 타령 2 김동렬 2020-06-23 3156
2013 보수꼴통의 유기견 행동 1 김동렬 2020-06-23 3338
2012 기독교의 본질 3 김동렬 2020-06-24 3432
2011 예수는 일원론자다 1 김동렬 2020-06-25 2863
2010 육이오의 원인 3 김동렬 2020-06-25 3644
2009 이정후의 매력 1 김동렬 2020-06-26 3441
2008 심리학은 물리학을 이길 수 없다 6 김동렬 2020-06-27 3576
2007 고수는 물리학으로 이긴다 1 김동렬 2020-06-28 3582
2006 영화 사라진 시간의 미덕 image 1 김동렬 2020-06-28 3572
2005 구조론의 접근법 1 김동렬 2020-06-29 3055
2004 금태섭, 진중권의 독점시장 4 김동렬 2020-06-30 3425
2003 흉식호흡과 복식호흡 1 김동렬 2020-07-02 3145
2002 인간은 왜 사기를 당하는가? 4 김동렬 2020-07-02 3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