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722 vote 0 2009.02.02 (21:30:21)

12.GIF

이 세상의 그 어떤 정밀한 기계장치라도 단지 다섯개의 저울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다. 다섯 개의 저울은 각각 입력, 저장, 제어, 연산, 출력을 구성한다. 각각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가장 복잡한 기계라면 3만개의 부품이 집적되어 만들어지는 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원리는 간단하다. 위험한 개솔린을 통제하는 방법이 복잡할 뿐 메커니즘은 지극히 단순하다.

가장 단순한 자동차는 물로 가는 자동차다. 수력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물시계가 곧 물로 가는 자동차임을 알 수 있다. 단지 바퀴가 지면에 닿는가 시계의 숫자판에 닿는가의 차이 뿐이다.

물시계나 태엽시계나 원리는 같다. 시계는 다섯개의 저울로 되어 있다. 하나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물론 심도 움직인다. 그러나 날에 대한 상대적인 관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바퀴축이 고정되므로 바퀴가 회전하듯이 천칭저울의 두 날이 움직이므로 축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진정한 축은 지구중력이다. 중력이 움직여서 축도 움직인다. 심이 움직여 날의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저울이다.

시계는 몸통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태엽을 감을 수 있다. 몸통이 하나의 심이면 태엽은 두 날이다. 곧 저울이 된다. 태엽의 한쪽 날은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한다. 손가락에 지문이 있으므로 태엽에도 깔쭈기가 있다.

태엽의 반대편 날은 스프링을 감는다. 이로서 하나의 저울이 성립하며 같은 패턴이 스프링의 저장, 걸쇠의 제어, 기어의 연산, 시계바늘의 출력으로 5회 반복된다. 역시 움직이지 않는 1과 움직이는 2로 구성된다.

스프링은 움직이지 않지만 추를 움직이게 한다. 추는 하나이지만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므로 두 날이 되니 심 1과 날 2가 성립한다. 몸통과 태엽이 입력장치라면, 스프링과 추는 저장장치다.

스프링은 태엽이 보낸 정보를 저장하고 추는 그 정보를 꺼낸다. 그리고 제어장치의 걸쇠와 바퀴가 속도를 제어하고, 연산장치의 기어가 전달하며, 출력장치의 바늘이 숫자판에 출력한다.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3190
6801 나쁜 개는 있다 김동렬 2024-05-21 1190
6800 엔트로피 완전정복 김동렬 2024-03-16 1195
6799 조롱 경멸 혐오의 윤석열 김동렬 2024-04-15 1195
6798 힘의 힘 김동렬 2024-02-19 1209
6797 다음의 다음 김동렬 2024-03-11 1215
6796 강형욱 소동과 프레임 정치의 비극 김동렬 2024-05-25 1218
6795 강형욱과 집단 정신병 김동렬 2024-05-23 1224
6794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1237
6793 엘리트와 비엘리트 김동렬 2024-05-22 1238
6792 광개토대왕비의 진실 4 김동렬 2024-05-18 1240
6791 한깐족과 황깐족 김동렬 2024-04-22 1252
6790 인간에게 고함 김동렬 2024-04-20 1253
6789 존재 김동렬 2024-02-23 1254
6788 토리야마 아키라의 드래곤 볼 김동렬 2024-03-10 1254
6787 바보가 너무나 많아 김동렬 2024-03-21 1257
6786 삼체와 문혁 image 김동렬 2024-04-18 1265
6785 신의 존재 김동렬 2024-02-26 1271
6784 현대인의 비가역적 뇌손상 김동렬 2024-05-29 1271
6783 야당 찍는게 선거다 2 김동렬 2024-03-18 1276
6782 박찬욱과 헤어지기 김동렬 2024-04-29 1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