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909 vote 0 2021.12.28 (15:59:07)

    구조론은 세상이 구조로 되어 있다는 소식이다.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흔히 말한다. 우주는 무한하고 시공간은 영원불멸하며 신은 전지전능하다고 한다. 대개 얼버무리는 말이다. 알맹이가 없는 막연한 말이다. 우주에 무한도 없고 영원도 없고 전지전능도 없다. 


    생물은 진화되었거나 창조되었거나다. 이 정도면 답이 나온 거다. 우리는 판단할 수 있다. 진화든 창조든 특이점이 있다. 사건의 시작점이 있다. 물질은? 존재는? 물질은 손으로 만져지는 것이고 존재는 시공간을 포함한 그것의 변화다. 우리는 물질과 성질로 그것을 설명한다. 


    그런데 얼버무리는 말이다. 고대의 사원소설과 동양의 음양설이 알려져 있다. 상생상극설 따위다. 물질이 성질을 가진다는 근거는? 소금이 짜고 설탕이 단 것은 성질이다. 동양에서는 차고 더운 성질이 있다고 주장한다. 얼버무리는 말을 빼고 진지하게 논하자면 성질의 근거는?


    성질은 구조에서 비롯된다. 어떤 둘이 만나는 방식이 존재의 성질을 결정한다. 어떤 하나는 성질이 없고 어떤 둘 이상의 관계가 성질을 결정한다. 관계를 바꾸는 방법으로 우리는 성질을 바꿀 수 있다. 물질은 궁극적으로 렙톤과 쿼트다. 그보다 작은 것에 대해서는 모른다. 


    성질은 자연계의 사대힘이다. 강력, 약력, 전자기력, 중력이 성질이다. 과학의 범위 안에서 논하자면 우주는 렙톤과 쿼크 그리고 네가지 힘으로 되어 있다. 그 이상은 모른다. 여기서 패턴을 보자. 세상은 물질과 성질로 되어 있다. 아니다. 세상은 단위와 구조로 되어 있다. 


    - 세상은 물질과 성질이다.

    - 물질은 렙톤과 쿼크이고 성질은 네가지 힘이다.

    - 물질은 단위고 성질은 구조다.


    원자는 단위고 성질은 구조다. 단위와 구조를 합치면 그것은 합치면 의사결정이다. 세상은 의사결정단위와 의사결정구조다. 그것은 변화를 설명한다. 세상은 변화다. 생물은 진화가 정답이고 물질은 변화가 정답이다.


    - 생물은 진화한다.

    - 물질은 변화한다. 


    얼버무리는 말 – 세상은 물질과 그것의 성질로 되어 있다.

    올바른 말 – 세상은 의사결정이며 의사결정은 단위와 구조로 되어 있다.


    말을 똑바로 하자는 것이다. 말을 똑바로 하면 답은 질문 속에서 스스로 드러난다. 물질과 성질로 보는 것은 얼버무리는 표현이다. 과학가는 엄격한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생물이 진화라면 물질은 변화이며 변화는 의사결정이며 의사결정은 단위와 구조다. 체와 용이다. 체가 단위라면 용은 구조다.


    바람이 분다. 바람이 체라면 분다는 용이다. 언어는 주어와 술어다. 주어가 단위라면 술어는 구조다. 그것은 의사결정이고 의사결정은 변화이며 변화는 사건이다. 우주의 근본은 사건이며 사건은 관측자에게 변화로 나타나고 변화의 메커니즘은 의사결정이며 의사결정은 단위와 구조로 이루어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16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074
1801 전쟁을 막은게 성과다 1 김동렬 2023-07-04 3692
1800 어떤 일베왕의 죽음 김동렬 2021-04-14 3692
1799 1은 살고 2는 죽는다 image 3 김동렬 2019-01-31 3692
1798 국민이 잘못했다 1 김동렬 2022-07-30 3689
1797 전지적 창조자 시점 1 김동렬 2019-01-29 3689
1796 윤석열 멸망 진짜 이유 image 김동렬 2022-01-03 3688
1795 하거나 당하거나 1 김동렬 2018-10-24 3688
1794 가족과 부족사이 1 김동렬 2018-10-26 3687
1793 권력과 동원 김동렬 2021-08-25 3686
1792 신은 우주상수다. 1 김동렬 2021-01-23 3682
1791 방향성을 판단하라 1 김동렬 2020-11-22 3681
1790 커쇼와 돌버츠 1 김동렬 2019-10-13 3681
1789 코끼리를 생각하라 1 김동렬 2021-01-25 3680
1788 유시민의 대권도전 1 김동렬 2023-01-03 3678
1787 허장성세 윤석열 김동렬 2021-11-30 3678
1786 라고한다의 법칙 김동렬 2021-07-24 3678
1785 마음은 진화다 1 김동렬 2019-02-25 3678
1784 인간은 사회적 동물인가? 1 김동렬 2021-07-05 3677
1783 세상을 디자인하는 다섯 가지 힘 김동렬 2021-08-18 3676
1782 세종은 왜 한글을 만들었나? 1 김동렬 2021-11-14 3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