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72 vote 0 2021.12.23 (23:46:57)

    인간은 말이 아니라 행위에 의해 규정되는 존재다. 말은 청산유수라 정통좌파인데 행위는 보수꼴통 따까리다. 인생 참 불쌍하게 산다. 진중권 신지예 말이다. 보수의 이익에 복무하는 자가 보수다.


    인간의 행위를 추동하는 엔진은 권력이다. 알면 곧 행해야 한다. 그러나 앎과 행함은 별개다. 권력이 자동차라면 앎은 내비다. 내비가 없어서 차가 못 가는게 아니고 차가 없어서 차가 못 가는 것이다. 권력이 지식에 앞선다. 


    인간의 문제는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권력의 문제다. 시장에 화폐를 공급하듯이 사회에 충분한 권력을 공급해야 한다. 시장은 언제나 화폐가 부족하고 사회는 언제나 권력이 부족하다. 일용할 양식이 필요하듯이 일용할 권력이 필요하다.


    인간들이 뭐를 몰라서 잘못하는게 아니라 이겨먹으려고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이다. 인간은 이겨서 권력을 얻으려고 한다. 왜냐고? 인간들이 도무지 말을 들어먹지 않기 때문이다. 말을 듣게 하는 것이 권력이다. 


    말을 잘 듣는 것은 교실에 가둬져 얌전히 앉아 있는 학생들이다. 사회는 살벌하고 현장은 치열하다. 지식인의 계몽주의는 먹히지 않는다. 이겨서 그들을 실력으로 제압해야 한다. 이기면 운전석에 앉아 핸들을 쥐고 지면 그 차에 치인다. 


    이기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생산력으로 이기는 것이고 둘은 거짓말로 이기는 것이다. 진실이 거짓말을 이길 수도 있지만 약하다. 진실에 거짓말을 조금 보태면 효과 두 배다. 진실과 거짓이 경쟁하면 당연히 거짓이 이긴다. 


    왜? 진실은 거짓을 이길 생각이 없는데 거짓은 진실을 이길 목적을 가지고 제품을 포장해서 팔기 때문이다. 진실에 거짓말을 적당히 섞어서 이겨먹을 수 있는 형태로 연출하므로 거짓이 이긴다. 지면? 이길때까지 포장지를 바꾼다.


    문제는 그러다가 본 게임에 진다는 것이다. 거짓말은 전투를 이기고 전쟁을 진다. 단기전을 이기고 장기전을 진다. 잠시 이기고 길게 진다. 내일이 없는 자들은 도무지 장기전을 하려고 들지 않는다. 내일 탈탈 털려서 거지가 되어도 상관없고 오늘 당장 한 게임이라도 이겨먹고 싶다. 그런 자를 말로 설득할 방법은 없다. 


    나는 한때 지식이 인류를 구할 수 있다고 믿었다. 지식은 객관적인 도구다. 지식을 던져주면 인간들이 알아서 잘 해낼 것으로 여겼다. 그런데 못하더라. 도구만으로는 부족하고 사용법을 알려줘야 한다. 인간들은 수술로 부족하고 치료후 재활까지 시켜줘야 한다. 


    본질은 권력이다. 권력공장을 건설해야 한다. 한국은행이 은행권을 찍어내듯이 권력을 찍어내야 한다. 과거에는 종교가 그 일을 했다. 사람들이 종교를 믿는 것은 종교에 권력이 있기 때문이다. 종교가 죽어보자고 말 안 듣는 인간을 조금이나마 말을 듣게 만든다. 다들 얌전히 교회에 모여 있잖아. 신기하게도 말이다. 


    종교를 이겨야 진짜 지식이다. 종교는 말을 듣게 만드는 대신 사람을 약하게 만든다. 에너지를 빼앗는다. 그들은 너무 쉽게 핸들을 타인에게 양보해 버린다. 종교인처럼 말을 들으면서도 절대 핸들을 양보하지 않는 사람을 양성해야 한다. 이기는 구조를 건설하지 않으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688
5744 구조론은 도구다 1 김동렬 2019-10-28 2960
5743 국가와 사회와 개인의 정답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6-21 2961
5742 에너지의 이해 1 김동렬 2018-11-15 2962
5741 인상주의 혁명 김동렬 2021-02-07 2962
5740 부처님은 웬일로 1 김동렬 2022-05-07 2962
5739 순진한 한국인들에게 고함 김동렬 2022-10-25 2962
5738 이성과 감성 2 김동렬 2021-06-26 2964
5737 불변의 이데아, 변화의 구조론 김동렬 2021-08-24 2964
5736 언어와 관점과 사건 1 김동렬 2021-09-22 2964
5735 철학해야 하는 이유 1 김동렬 2020-07-23 2965
5734 민중의 백기완 김동렬 2021-02-15 2965
5733 구조의 발견 1 김동렬 2020-06-11 2967
5732 윤석열의 몰락 이유 김동렬 2022-07-13 2967
5731 구조론은 세상을 구조로 설명한다. 김동렬 2021-01-04 2968
5730 세상의 진실은 권력이다 1 김동렬 2021-02-25 2968
5729 참교육으로 갈아타자 1 김동렬 2020-04-29 2970
5728 자연은 할 수 있는 것을 한다 김동렬 2021-03-10 2970
5727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김동렬 2021-04-05 2970
5726 천재와 둔재의 차이 김동렬 2022-10-17 2971
5725 다윈과 스펜서 1 김동렬 2019-11-23 2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