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민규
read 2748 vote 0 2021.12.18 (06:29:23)

지금은 사그라들었지만 20세기 초에는 수학 기초론에 대한 논쟁이 꽤 있었다. 시끄러운 시대의 분위기에 맞춰 수학자들도 체면을 세우려면 거대한 합의를 해야 했다, 또 그런 압력이 존재했다. 수학의 발전은 충분히 무르익었으니 이제 '완벽한 수학'으로 결판을 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이 때 수학철학적 논쟁이 시작되었는데 이의 여러가지 입장 중에 형식주의와 직관주의를 대칭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형식주의는 무엇이 '진정한 진리'인지는 중요하지 않고 단지 수학에 모순이 없으면 된다는 입장이다.

이는 "이놈을 찍으나 저놈을 찍으나 똑같다"는 말처럼 들린다. 이 말은 결국 기존 체계를 유지하는 입장으로 이어진다.


직관주의자는 수학은 수학자의 마음에 의해 창조되는 것이라는 말을 내세운다. 그리고 그 마음이 거절하는 여러가지 수학적 장치를 없애고 그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직관주의의 일부는 칸토어의 무한집합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난 것이다. 무한집합이 개발되자 수학자들은 유한집합의 여러 원리를 일반화하여 공리로 만들어서 무한집합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것을 직관주의자는 싫어했다. 또 그들은 논리학의 배중률을 수학에 적용하는 것을 거부한다. 즉 모든 수학적 문장이 참 혹은 거짓인 게 아니라 참도 거짓도 아닌 문장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직관주의자들의 주장은 한마디로 "함부로 일반화하지 마라"는 것이다.

직관주의자는 많은 수학적 유용함을 버리려고 한다는 비판을 받지만 직관주의자도 수학적 일반화가 매우 유용하다는 것은 인정한다. 문제는 그러한 일반화가 부지불식 간에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즉 범위를 정하지 않고 일반화를 했다. 즉 적용 범위가 무한하다는 뜻이다. 이러한 것을 직관주의자는 매우 불쾌하게 생각한다. 마치 엄격한 시니어 프로그래머와 같다. 또 직관주의자들 중 일부는 극단화되어 아예 무한을 부정하는 유한주의를 주장하기도 했다. 나는 생각한다. 수학자는 현실의 지독한 무한에서 도피해서 수학의 세계로 왔건만 직관주의자는 수학에서도 무한을 발견하고 또다시 어디론가 도피하는구나.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1.12.18 (09:06:07)

수학은 도구입니다.

도구가 아니라 어떤 물리적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순간 개소리가 시작되는 거지요.

도구는 선도 없고 악도 없으며 유한도 없고 무한도 없으며 참도 없고 거짓도 없으며 다른 도구를 이기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26
2007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371
2006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361
2005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340
2004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339
2003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326
2002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17
2001 척력. 2 아제 2010-07-14 7296
2000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288
1999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281
1998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257
1997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256
1996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252
1995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252
1994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237
1993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11
1992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197
1991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187
1990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169
1989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168
1988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