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95 vote 0 2021.12.16 (19:09:07)

    구조 - 세상은 맞물려 돌아간다.
    상성 - 사건의 변인은 주체, 객체, 맞물림 셋이다.
    수학 - 열려 있는 주체와 객체는 논외로 하고 닫혀 있는 맞물림만 추적한다.
    엔트로피 - 맞물려 돌아가는 것은 한 방향으로 돌아간다.
    에너지 - 맞물린 매듭의 숫자는 불변이며 입자처럼 셀 수 있다.
    쓸 수 있는 에너지 - 사건은 맞물림을 의사결정비용으로 소모한다.


    하나의 사건은 세 가지 변인을 추적할 수 있다. 주체, 맞물림, 객체다. 주체의 변화가 맞물림에 의해 객체의 변화로 나타난다. 합쳐서 다섯이 하나의 사건을 이룬다. 주체의 변화>주체의 사정>맞물림의 사정>객체의 사정>객체의 변화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다. 여기서 주체와 객체는 불균일하므로 균일한 맞물림만 따지는 것이 수학이다.


    콩이 다섯 알 있다고 치자. 밤콩인지 땅콩인지 완두콩인지는 논외로 하자. 그건 열린계다. 콩알은 균일하지 않다. 썩은 것도 있지만 신경쓰지 말자. 그 콩을 세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이 민주당 소속인지 국힘당 소속인지는 논외로 하자. 콩은 열려 있다. 다양한 콩이 있다. 사람도 열려 있다. 다양한 사람이 있다. 주체와 객체는 열려 있다. 그러나 콩알과 사람을 연결하는 라인은 일정하다. 둘의 맞물림은 닫혀 있다. 열린계의 사정은 다양하나 닫힌계의 사정은 일정하다. 사건은 주체와 객체 그리고 둘의 맞물림까지 세 가지 변인으로 성립한다. 그중에서 일정한 것은 맞물림이다.


    포수도 변하고 사슴도 변한다. 둘을 연결하는 총은 불변이다. 주체와 객체는 상대성을 가지지만 둘의 맞물림은 절대성을 가진다. 우리는 그 불변에 의지할 수 있다. 그게 수학이다. 구조론은 그 맞물림을 해명한다. 상성은 주체와 객체의 맞물림이 가지는 불변의 성질이다. 상성이 수학의 탐구대상이 된다. 궁합이나 천적관계나 상생상극이 그러하다.


    엔트로피는 그렇게 맞물린 채로 바퀴가 돌아갈 때는 한 방향으로 돈다는 것이다. 두 방향으로 도는 바퀴는 없다. 에너지는 그 맞물림의 매듭이 핀셋으로 낱낱이 찍어서 셀 수 있는 물리량이라는 거다. 엔트로피 증가는 외부의 영향이 없이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저절로 돌아가는 사건은 그 맞물림을 소모한다는 거다. 의사결정에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시계태엽이 풀리듯이 맞물림이 다 풀어지면 사건이 멈춘다.


    구조, 상성, 수학, 엔트로피, 에너지, 쓸 수 있는 에너지 개념을 전부 연결하여 머리 속에 하나의 그림을 그려야 한다. 각각 따로 생각하므로 헷갈리는 것이다. 엔트로피는 알지만 정치, 경제, 사회에 적용하여 써먹지 못하는 이유는 모르기 때문이다. 알고 보면 거의 모든 것이 엔트로피다. 국힘당은 양손에 떡을 들고 이준석을 부려서 20대 남자표를 잡고 이수정을 부려서 30대 페미표를 잡는다고 개소리를 하지만 자연의 톱니는 언제나 한 방향으로 돌아간다.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7088
5684 심상정의 몰락이유 김동렬 2022-01-13 5210
5683 버스터 키튼의 제너럴 4 김동렬 2022-01-12 3414
5682 선등자와 확보자 김동렬 2022-01-11 3267
5681 권력과 이익 김동렬 2022-01-10 2942
5680 정용진 윤석열의 멸공놀음 김동렬 2022-01-10 3394
5679 구조론적 행동주의 김동렬 2022-01-09 2943
5678 고수 이재명 하수 윤석열 김동렬 2022-01-08 3691
5677 지식권력의 문제 김동렬 2022-01-08 2634
5676 윤석열 이준석의 몰락공식 김동렬 2022-01-07 3746
5675 지식인의 자세 1 김동렬 2022-01-07 2792
5674 윤석열 김종인 이준석 삼국지 김동렬 2022-01-06 3398
5673 과학 하기 싫다? 김동렬 2022-01-05 2653
5672 누가 윤석열을 죽였는가? 1 김동렬 2022-01-05 3317
5671 배신의 정치 윤석열 김동렬 2022-01-04 3676
5670 안철수로 단일화 한다고? 김동렬 2022-01-03 3818
5669 이재명 지지율이 오른 이유 김동렬 2022-01-03 3350
5668 윤석열 멸망 진짜 이유 image 김동렬 2022-01-03 3545
5667 과학과 비과학 김동렬 2022-01-02 2789
5666 이재명 윤석열 김동렬 2022-01-02 3098
5665 MB 아바타와 내가 바보입니까? 김동렬 2022-01-01 3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