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85 vote 0 2021.12.03 (12:27:25)

    존재는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물이 한자리에 모이면 사건이 일어난다. 개와 원숭이가 만나면 싸움이 일어난다. 원수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나면 사건이 벌어진다. 틀렸다. 실제로는 우주 안에 사건이 존재할 뿐이다. 사물은 주체가 객체를 지목하여 가리킨 것이다. 사물은 존재의 모습이 아니라 인간끼리의 약속이다. 인간의 언어적 편의다.


    물은 사물이다. 물의 흐름은 사건이다. 그런데 물도 소립자 단위로 쪼개면 결국 사건이다. 사건은 변하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다. 사물은 같은 사건이 제자리에서 반복되므로 해석할 필요가 없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사건이며 그중에서 해석과정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 사물이다. 사건은 자연의 실재이고 사물은 단축키 같은 것이다.


    바둑이라면 바둑알과 대국이 있다. 바둑알은 보인다. 대국은 보이지 않는다. 대국은 바둑알의 이동을 보고 해석해야 한다. 컴퓨터라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다. 하드웨어는 보인다. 소프트웨어는 보이지 않는다. 생물이라면 세포와 생명이다. 세포는 보인다. 생명은 보이지 않는다. 세상은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진다. 사물은 그냥 보이고 사건은 해석해야 보인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고 과일이 익어가는 것은 인간이 해석한 것이다. 퍼즐을 맞춘 것이다. 풋사과와 익은 사과는 다른 사과인데 연결하여 같은 사과로 결론을 내린 것이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퍼즐을 쉽게 맞춘다.


    인류는 1만 년 동안 사물을 보는 관점으로 지식을 쌓아왔지만 한계에 봉착했다. 해석을 생략하는 사물의 관점으로는 더 이상 진도를 나갈 수 없다. 사건의 해석은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므로 골치 아파서 외면한 것이다. 


    공간과 시간은 자연에 없다. 그런데 있는 걸로 친다. 이는 사건을 사물화 한 것이다. 그게 더 쉽기 때문이다. 퍼즐 맞추기가 귀찮아서 꼼수를 쓴 것이다. 그런데 도구를 쓰면 어떨까? 도구가 대신 해석해주면 어떨까? 인간은 핸들만 쥐고 있으면 된다. 어질러진 퍼즐 조각은 구조론이 맞추어준다. 그렇다면 꼼수를 버리고 정공법으로 승부해야 한다. 사물의 관점을 버리고 사건의 해석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255
5658 윤석열의 패착 김동렬 2021-12-28 3874
5657 종교와 대안 3 김동렬 2021-12-27 3301
5656 인간 이재명 김동렬 2021-12-27 3795
5655 조중동이 김건희 죽였다 김동렬 2021-12-27 3657
5654 윤석열은 인간일까? 김동렬 2021-12-27 3582
5653 사과하면 죽는다 김동렬 2021-12-26 3879
5652 넘버 3 윤석열 image 1 김동렬 2021-12-26 4503
5651 503 김건희 맞교환 3 김동렬 2021-12-25 5134
5650 쓸쓸한 사면 1 김동렬 2021-12-24 4118
5649 권력과 지식 김동렬 2021-12-23 3325
5648 축차투입의 의미 김동렬 2021-12-23 4563
5647 설강화 논란 1 김동렬 2021-12-22 3766
5646 색깔에 대한 생각 1 김동렬 2021-12-21 3498
5645 여성의 적은 신지예다. 1 김동렬 2021-12-21 3728
5644 윤석열의 진실 김동렬 2021-12-20 3946
5643 세어보기 김동렬 2021-12-20 3092
5642 구조론의 의미 김동렬 2021-12-20 2322
5641 세상에 머저리가 많은 이유 김동렬 2021-12-20 2851
5640 갈릴레이의 빅 픽처 김동렬 2021-12-19 2549
5639 대의명분 윤서방 김동렬 2021-12-19 3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