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75 vote 0 2021.12.03 (12:27:25)

    존재는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물이 한자리에 모이면 사건이 일어난다. 개와 원숭이가 만나면 싸움이 일어난다. 원수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나면 사건이 벌어진다. 틀렸다. 실제로는 우주 안에 사건이 존재할 뿐이다. 사물은 주체가 객체를 지목하여 가리킨 것이다. 사물은 존재의 모습이 아니라 인간끼리의 약속이다. 인간의 언어적 편의다.


    물은 사물이다. 물의 흐름은 사건이다. 그런데 물도 소립자 단위로 쪼개면 결국 사건이다. 사건은 변하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다. 사물은 같은 사건이 제자리에서 반복되므로 해석할 필요가 없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사건이며 그중에서 해석과정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 사물이다. 사건은 자연의 실재이고 사물은 단축키 같은 것이다.


    바둑이라면 바둑알과 대국이 있다. 바둑알은 보인다. 대국은 보이지 않는다. 대국은 바둑알의 이동을 보고 해석해야 한다. 컴퓨터라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다. 하드웨어는 보인다. 소프트웨어는 보이지 않는다. 생물이라면 세포와 생명이다. 세포는 보인다. 생명은 보이지 않는다. 세상은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진다. 사물은 그냥 보이고 사건은 해석해야 보인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고 과일이 익어가는 것은 인간이 해석한 것이다. 퍼즐을 맞춘 것이다. 풋사과와 익은 사과는 다른 사과인데 연결하여 같은 사과로 결론을 내린 것이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퍼즐을 쉽게 맞춘다.


    인류는 1만 년 동안 사물을 보는 관점으로 지식을 쌓아왔지만 한계에 봉착했다. 해석을 생략하는 사물의 관점으로는 더 이상 진도를 나갈 수 없다. 사건의 해석은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므로 골치 아파서 외면한 것이다. 


    공간과 시간은 자연에 없다. 그런데 있는 걸로 친다. 이는 사건을 사물화 한 것이다. 그게 더 쉽기 때문이다. 퍼즐 맞추기가 귀찮아서 꼼수를 쓴 것이다. 그런데 도구를 쓰면 어떨까? 도구가 대신 해석해주면 어떨까? 인간은 핸들만 쥐고 있으면 된다. 어질러진 퍼즐 조각은 구조론이 맞추어준다. 그렇다면 꼼수를 버리고 정공법으로 승부해야 한다. 사물의 관점을 버리고 사건의 해석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6861
5717 장길산과 서프라이즈 김동렬 2004-07-05 13830
5716 김정일, 찬스는 지금이다 김동렬 2004-07-07 12960
5715 조선일보, 서프의 비듬을 털어먹다 김동렬 2004-07-08 13309
5714 서프라이즈가 가야 하는 길 김동렬 2004-07-09 12816
5713 서프의 경쟁력은 창의력에 있다 김동렬 2004-07-13 14277
5712 박근혜가 사는 법 김동렬 2004-07-15 13361
5711 박정희의 개 이재오 image 김동렬 2004-07-16 14894
5710 제헌절유감 김동렬 2004-07-17 14939
5709 사형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 김동렬 2004-07-19 14595
5708 공희준 대 유시민 김동렬 2004-07-21 14245
5707 박근혜 잘한다 김동렬 2004-07-22 15429
5706 이회창 닮는 박근혜 김동렬 2004-07-25 14137
5705 박근혜, 아웃인가? image 김동렬 2004-07-27 13549
5704 강금실은 돌아온다 image 김동렬 2004-07-28 15057
5703 유시민, 싸워야 한다 김동렬 2004-08-02 14709
5702 일해가 유죄면 정수도 유죄다 김동렬 2004-08-04 13925
5701 데일리 서프라이즈 출범에 부쳐 김동렬 2004-08-05 12868
5700 박근혜 지지도 추락 김동렬 2004-08-10 15615
5699 한노공조당 망한다 김동렬 2004-08-11 13296
5698 박정희를 넘어서야 미래가 있다 김동렬 2004-08-13 13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