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70 vote 0 2021.12.03 (12:27:25)

    존재는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물이 한자리에 모이면 사건이 일어난다. 개와 원숭이가 만나면 싸움이 일어난다. 원수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나면 사건이 벌어진다. 틀렸다. 실제로는 우주 안에 사건이 존재할 뿐이다. 사물은 주체가 객체를 지목하여 가리킨 것이다. 사물은 존재의 모습이 아니라 인간끼리의 약속이다. 인간의 언어적 편의다.


    물은 사물이다. 물의 흐름은 사건이다. 그런데 물도 소립자 단위로 쪼개면 결국 사건이다. 사건은 변하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다. 사물은 같은 사건이 제자리에서 반복되므로 해석할 필요가 없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사건이며 그중에서 해석과정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 사물이다. 사건은 자연의 실재이고 사물은 단축키 같은 것이다.


    바둑이라면 바둑알과 대국이 있다. 바둑알은 보인다. 대국은 보이지 않는다. 대국은 바둑알의 이동을 보고 해석해야 한다. 컴퓨터라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다. 하드웨어는 보인다. 소프트웨어는 보이지 않는다. 생물이라면 세포와 생명이다. 세포는 보인다. 생명은 보이지 않는다. 세상은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진다. 사물은 그냥 보이고 사건은 해석해야 보인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고 과일이 익어가는 것은 인간이 해석한 것이다. 퍼즐을 맞춘 것이다. 풋사과와 익은 사과는 다른 사과인데 연결하여 같은 사과로 결론을 내린 것이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퍼즐을 쉽게 맞춘다.


    인류는 1만 년 동안 사물을 보는 관점으로 지식을 쌓아왔지만 한계에 봉착했다. 해석을 생략하는 사물의 관점으로는 더 이상 진도를 나갈 수 없다. 사건의 해석은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므로 골치 아파서 외면한 것이다. 


    공간과 시간은 자연에 없다. 그런데 있는 걸로 친다. 이는 사건을 사물화 한 것이다. 그게 더 쉽기 때문이다. 퍼즐 맞추기가 귀찮아서 꼼수를 쓴 것이다. 그런데 도구를 쓰면 어떨까? 도구가 대신 해석해주면 어떨까? 인간은 핸들만 쥐고 있으면 된다. 어질러진 퍼즐 조각은 구조론이 맞추어준다. 그렇다면 꼼수를 버리고 정공법으로 승부해야 한다. 사물의 관점을 버리고 사건의 해석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6706
5717 답은 현장에 있다 김동렬 2021-09-01 3041
5716 세어보기 김동렬 2021-12-20 3041
5715 명령과 동원 김동렬 2021-10-17 3042
5714 권력의 근거 김동렬 2023-10-06 3047
5713 문제는 언어다 1 김동렬 2019-10-29 3049
5712 동기부여에 속지말라. 2 김동렬 2021-03-16 3050
5711 시간의 정체 김동렬 2021-09-21 3050
5710 언어구조론 김동렬 2021-10-13 3051
5709 실용과 경험의 위험 1 김동렬 2020-05-11 3054
5708 에너지는 딱 걸린다 1 김동렬 2019-10-22 3054
5707 권력과 이익 김동렬 2022-01-10 3058
5706 구조론은 쉽다 5 김동렬 2020-07-27 3062
5705 레깅스와 관료주의 1 김동렬 2020-07-05 3066
5704 변화가 좋다. 1 김동렬 2019-01-15 3069
5703 구조 1 김동렬 2020-02-16 3071
5702 대칭과 비대칭 3 김동렬 2020-07-10 3072
5701 진화는 방향성이 있다 김동렬 2021-10-08 3072
5700 논객행동 이재명 김동렬 2020-09-20 3073
5699 사회게임론 1 김동렬 2020-08-07 3074
5698 무신의 난 윤석열 김동렬 2021-11-27 3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