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22 vote 0 2021.12.03 (12:27:25)

    존재는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물이 한자리에 모이면 사건이 일어난다. 개와 원숭이가 만나면 싸움이 일어난다. 원수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나면 사건이 벌어진다. 틀렸다. 실제로는 우주 안에 사건이 존재할 뿐이다. 사물은 주체가 객체를 지목하여 가리킨 것이다. 사물은 존재의 모습이 아니라 인간끼리의 약속이다. 인간의 언어적 편의다.


    물은 사물이다. 물의 흐름은 사건이다. 그런데 물도 소립자 단위로 쪼개면 결국 사건이다. 사건은 변하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다. 사물은 같은 사건이 제자리에서 반복되므로 해석할 필요가 없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사건이며 그중에서 해석과정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 사물이다. 사건은 자연의 실재이고 사물은 단축키 같은 것이다.


    바둑이라면 바둑알과 대국이 있다. 바둑알은 보인다. 대국은 보이지 않는다. 대국은 바둑알의 이동을 보고 해석해야 한다. 컴퓨터라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다. 하드웨어는 보인다. 소프트웨어는 보이지 않는다. 생물이라면 세포와 생명이다. 세포는 보인다. 생명은 보이지 않는다. 세상은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진다. 사물은 그냥 보이고 사건은 해석해야 보인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고 과일이 익어가는 것은 인간이 해석한 것이다. 퍼즐을 맞춘 것이다. 풋사과와 익은 사과는 다른 사과인데 연결하여 같은 사과로 결론을 내린 것이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퍼즐을 쉽게 맞춘다.


    인류는 1만 년 동안 사물을 보는 관점으로 지식을 쌓아왔지만 한계에 봉착했다. 해석을 생략하는 사물의 관점으로는 더 이상 진도를 나갈 수 없다. 사건의 해석은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므로 골치 아파서 외면한 것이다. 


    공간과 시간은 자연에 없다. 그런데 있는 걸로 친다. 이는 사건을 사물화 한 것이다. 그게 더 쉽기 때문이다. 퍼즐 맞추기가 귀찮아서 꼼수를 쓴 것이다. 그런데 도구를 쓰면 어떨까? 도구가 대신 해석해주면 어떨까? 인간은 핸들만 쥐고 있으면 된다. 어질러진 퍼즐 조각은 구조론이 맞추어준다. 그렇다면 꼼수를 버리고 정공법으로 승부해야 한다. 사물의 관점을 버리고 사건의 해석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31
5901 모든 숭배는 우상숭배다 1 김동렬 2019-12-31 2808
5900 과학은 세는 것이다 김동렬 2021-12-30 2809
5899 데카르트의 우상 1 김동렬 2020-05-04 2810
5898 철학의 실패 2 김동렬 2020-05-13 2810
5897 잔 다르크와 윤석열 김동렬 2023-04-20 2810
5896 세상은 구조다.[수정] 김동렬 2021-05-07 2811
5895 언론의 불공정이 민주주의 위기 부른다 2 김동렬 2022-02-02 2811
5894 신의 입장 4 김동렬 2020-02-08 2812
5893 원인은 자연의 조절장치다. 김동렬 2021-07-06 2812
5892 패러다임의 전환 1 김동렬 2020-03-19 2813
5891 구조론의 차원개념 image 김동렬 2020-04-07 2815
5890 엔트로피의 이해 1 김동렬 2023-02-17 2816
5889 젤렌스키 욕하지마라 김동렬 2022-09-19 2817
5888 다윈의 우상 1 김동렬 2020-11-23 2818
5887 육하원칙 김동렬 2023-03-24 2819
5886 윤석열 살아야 하니까 무조건 된다. 김동렬 2023-08-05 2819
5885 코끼리를 고질라로 키우는 김기현 2 김동렬 2023-04-13 2820
5884 단을 완성하라 김동렬 2021-03-02 2821
5883 에디슨과 테슬라 그리고 JP 모건 5 김동렬 2022-02-09 2822
5882 독고다이 윤석열 김동렬 2023-04-10 2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