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65 vote 0 2021.12.02 (15:30:15)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사물이냐 사건이냐다. 사물은 그냥 관찰하면 되는데, 사건은 여럿이 모여서 계를 이루고 이차적인 변화를 일으키므로 퍼즐 맞추기가 만만치 않다. 사건은 해석이 필요하므로 도구를 써야 한다.


    소금이 짜고 설탕이 단 것은 사물의 성질이다. 성질은 변하지 않으므로 믿을 수 있다. 그런데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고 과일이 썩는 것은 사건이다. 구름이 조금이면 괜찮은데 많이 모이면 비가 된다. 상자에 담긴 과일 중에 하나가 썩으면 순식간에 죄다 썩는다. 사건은 일정한 조건에서 갑자기 격발된다. 사건은 고유한 속성이 결정하는게 아니라 이차적인 조건이 결정하므로 헷갈리게 된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 전체와 부분, 연결과 단절이 머리와 꼬리로 나누어 대칭을 이루고 톱니가 맞물려 돌아간다. 우리는 사물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퍼즐 맞추기를 시도하지만 사건의 복잡성이라는 장벽에 막혀 좌절한다. 사건은 진행하면서 열린계가 닫힌계로 바뀌고, 강체가 유체로 바뀌면서 객체의 고유한 속성은 의미가 없고 수학적 확률이 지배하게 된다. 완전히 다른 세상이 열리는 것이다.


    사물이 재료라면 사건은 요리다. 요리사는 지지고 볶고 데치고 삶아서 원재료에 없는 새로운 맛을 도출해 낸다. 그것은 속성이 아니라 관계, 성격이 아니라 궁합이다. 사물을 보는 단순한 시선으로 복잡한 사건을 감당할 수 없다. 그런데 복잡한 것은 추려서 역으로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구조의 힘이다.


    구조론은 수학화 시켜서 보는 방법이다. 사건에 닫힌계를 걸어 외부 변수의 개입을 차단하고 판을 키워서 유체의 성질을 부여하면 자원이 가진 고유한 속성은 사라지고 수학적인 관계가 성질을 결정한다. 사건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고 토대를 공유하며 나란히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 있다. 사건의 메커니즘을 끌고 가는 핸들이 있다. 그 핸들을 잡아야 한다. 비로소 정상에서 전모를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81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878
644 충청도 죽이기 김동렬 2023-07-16 2530
643 구조론은 사건의 원자론이다 1 김동렬 2020-01-06 2530
642 플라잉카의 마이너스 1 김동렬 2019-11-18 2529
641 사건의 수학 구조론 김동렬 2022-12-28 2528
640 30퍼센트 정권은 뭐를 해도 비정상 김동렬 2023-09-10 2521
639 제주도사람과 호남사람 김동렬 2023-02-26 2518
638 허무주의에 대하여 김동렬 2023-03-05 2515
637 구조론의 출발점 2 김동렬 2022-12-19 2510
636 신의 입장 김동렬 2023-05-08 2508
635 검수완박 대환영 윤석열 1 김동렬 2022-04-20 2507
634 사물이 있고 사건이 있다. 1 김동렬 2019-11-20 2507
633 세상은 점이다 2 김동렬 2020-03-01 2505
632 신데렐라 이야기 1 김동렬 2022-12-21 2503
631 초심자를 위한 구조론 김동렬 2022-05-19 2502
630 호남 가서 약자혐오 이준석 1 김동렬 2024-02-01 2501
629 삼국지 인물론 김동렬 2023-11-01 2501
628 무속인 쿠데타 빨갱이 김동렬 2023-10-31 2500
627 자연에 차원은 없다. 1 김동렬 2020-03-01 2495
626 역설의 세계 김동렬 2022-06-11 2493
625 플라톤의 동굴 image 1 김동렬 2022-06-18 2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