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93 vote 0 2021.12.02 (15:30:15)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사물이냐 사건이냐다. 사물은 그냥 관찰하면 되는데, 사건은 여럿이 모여서 계를 이루고 이차적인 변화를 일으키므로 퍼즐 맞추기가 만만치 않다. 사건은 해석이 필요하므로 도구를 써야 한다.


    소금이 짜고 설탕이 단 것은 사물의 성질이다. 성질은 변하지 않으므로 믿을 수 있다. 그런데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고 과일이 썩는 것은 사건이다. 구름이 조금이면 괜찮은데 많이 모이면 비가 된다. 상자에 담긴 과일 중에 하나가 썩으면 순식간에 죄다 썩는다. 사건은 일정한 조건에서 갑자기 격발된다. 사건은 고유한 속성이 결정하는게 아니라 이차적인 조건이 결정하므로 헷갈리게 된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 전체와 부분, 연결과 단절이 머리와 꼬리로 나누어 대칭을 이루고 톱니가 맞물려 돌아간다. 우리는 사물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퍼즐 맞추기를 시도하지만 사건의 복잡성이라는 장벽에 막혀 좌절한다. 사건은 진행하면서 열린계가 닫힌계로 바뀌고, 강체가 유체로 바뀌면서 객체의 고유한 속성은 의미가 없고 수학적 확률이 지배하게 된다. 완전히 다른 세상이 열리는 것이다.


    사물이 재료라면 사건은 요리다. 요리사는 지지고 볶고 데치고 삶아서 원재료에 없는 새로운 맛을 도출해 낸다. 그것은 속성이 아니라 관계, 성격이 아니라 궁합이다. 사물을 보는 단순한 시선으로 복잡한 사건을 감당할 수 없다. 그런데 복잡한 것은 추려서 역으로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구조의 힘이다.


    구조론은 수학화 시켜서 보는 방법이다. 사건에 닫힌계를 걸어 외부 변수의 개입을 차단하고 판을 키워서 유체의 성질을 부여하면 자원이 가진 고유한 속성은 사라지고 수학적인 관계가 성질을 결정한다. 사건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고 토대를 공유하며 나란히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 있다. 사건의 메커니즘을 끌고 가는 핸들이 있다. 그 핸들을 잡아야 한다. 비로소 정상에서 전모를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00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59
5632 보안법, 최후의 승부가 임박했다 image 김동렬 2004-12-23 13831
5631 위기의 우리당 image 김동렬 2004-12-27 14299
5630 이해찬의 미소 image 김동렬 2004-12-28 13936
5629 “인간쓰레기 박근혜” image 김동렬 2004-12-30 20125
5628 이부영 천정배는 1회용 소모품이다 image 김동렬 2005-01-03 13240
5627 이계진은 까불지 마라 김동렬 2005-01-04 14161
5626 유시민이 나서야 한다 김동렬 2005-01-05 13834
5625 중도하면 반드시 망한다 image 김동렬 2005-01-05 13520
5624 강준만의 잔소리 김동렬 2005-01-07 14355
5623 박근혜의 몰락공식 김동렬 2005-01-10 12530
5622 노무현의 리더십 image 김동렬 2005-01-12 15848
5621 한류의 본질은 유교문명의 재발견 image 김동렬 2005-01-12 13915
5620 "명계남이 옳소" image 김동렬 2005-01-13 13093
5619 국참연, 참정연 다 좋다 김동렬 2005-01-15 12756
5618 강준만, 인터넷으로 와라 김동렬 2005-01-17 13341
5617 남자 전여옥 임지현 김동렬 2005-01-20 13315
5616 국참연 참정연 합칠 수 없다 김동렬 2005-01-20 13377
5615 최악의 사이비 임지현 image 김동렬 2005-01-24 14155
5614 우리는 스님을 잃었다 image 김동렬 2005-01-25 15438
5613 지율스님 단식의 본질 김동렬 2005-01-26 12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