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59 vote 0 2021.12.02 (15:30:15)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사물이냐 사건이냐다. 사물은 그냥 관찰하면 되는데, 사건은 여럿이 모여서 계를 이루고 이차적인 변화를 일으키므로 퍼즐 맞추기가 만만치 않다. 사건은 해석이 필요하므로 도구를 써야 한다.


    소금이 짜고 설탕이 단 것은 사물의 성질이다. 성질은 변하지 않으므로 믿을 수 있다. 그런데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고 과일이 썩는 것은 사건이다. 구름이 조금이면 괜찮은데 많이 모이면 비가 된다. 상자에 담긴 과일 중에 하나가 썩으면 순식간에 죄다 썩는다. 사건은 일정한 조건에서 갑자기 격발된다. 사건은 고유한 속성이 결정하는게 아니라 이차적인 조건이 결정하므로 헷갈리게 된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 전체와 부분, 연결과 단절이 머리와 꼬리로 나누어 대칭을 이루고 톱니가 맞물려 돌아간다. 우리는 사물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퍼즐 맞추기를 시도하지만 사건의 복잡성이라는 장벽에 막혀 좌절한다. 사건은 진행하면서 열린계가 닫힌계로 바뀌고, 강체가 유체로 바뀌면서 객체의 고유한 속성은 의미가 없고 수학적 확률이 지배하게 된다. 완전히 다른 세상이 열리는 것이다.


    사물이 재료라면 사건은 요리다. 요리사는 지지고 볶고 데치고 삶아서 원재료에 없는 새로운 맛을 도출해 낸다. 그것은 속성이 아니라 관계, 성격이 아니라 궁합이다. 사물을 보는 단순한 시선으로 복잡한 사건을 감당할 수 없다. 그런데 복잡한 것은 추려서 역으로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구조의 힘이다.


    구조론은 수학화 시켜서 보는 방법이다. 사건에 닫힌계를 걸어 외부 변수의 개입을 차단하고 판을 키워서 유체의 성질을 부여하면 자원이 가진 고유한 속성은 사라지고 수학적인 관계가 성질을 결정한다. 사건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고 토대를 공유하며 나란히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 있다. 사건의 메커니즘을 끌고 가는 핸들이 있다. 그 핸들을 잡아야 한다. 비로소 정상에서 전모를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3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349
5684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 김동렬 2004-09-20 13661
5683 전여옥과 결전하면서 image 김동렬 2004-09-21 14408
5682 참사람을 찾아서 김동렬 2004-09-22 12586
5681 전여옥 인간 만들기 진행중 김동렬 2004-09-23 13663
5680 얼굴마담 박근혜 김동렬 2004-09-24 13725
5679 전여옥 유권자를 고소하다 김동렬 2004-09-24 9080
5678 즐거운 한가위 되시길 image 김동렬 2004-09-25 13896
5677 노사모는 선거중 김동렬 2004-09-28 13002
5676 최근여론조사 분석 김동렬 2004-09-30 12927
5675 노무현은 무엇으로 사는가? 김동렬 2004-10-02 13009
5674 케리가 이긴다 김동렬 2004-10-04 14881
5673 갑제옹 박근혜를 치다 김동렬 2004-10-05 13205
5672 노사모 새 집행부를 환영하며 김동렬 2004-10-07 13065
5671 한나라당 지지율 곤두박질한다 image 김동렬 2004-10-08 13177
5670 먹물의 가면님께 감사를 전하며 김동렬 2004-10-12 13857
5669 네이버 싸울 준비는 돼 있겠지 image 김동렬 2004-10-14 13987
5668 우리당의 물로 가는 자동차 김동렬 2004-10-15 13693
5667 영자의 전성시대 김동렬 2004-10-16 13845
5666 김기덕의 빈집을 본 특별한 소수인 당신을 위하여 김동렬 2004-10-18 12129
5665 정치하는 원숭이들 image 김동렬 2004-10-19 13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