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28 vote 0 2021.11.28 (21:20:43)

Four_Colour_Planar_Graph.svg.png


       

    사색정리의 증명을 떠나 구조론의 차원 개념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구조론은 차원을 '계, 체, 각, 선, 점'으로 설명한다. 점은 하나, 선은 둘, 각은 셋, 체는 넷, 계는 다섯의 의사결정이 서로를 공유한다. 한 지점에 서로 맞물린다는 말이다. 맞물리는 지점은 꼭지점이다. 


    꼭지점은 이쪽에 속하면서 동시에 저쪽에 속한다는 점이 각별하다. 구조론의 차원은 꼭지점 중심으로 보는 것이다.    


    사색문제는 종이로 사면체를 만들었다가 풀어놓은 것과 같다. 사색문제는 구조론의 체를 설명한다. 하나의 구역을 이루는 각은 하나의 꼭지점이 이에 맞물려서 대칭되는 두 지점을 공유하므로 의사결정지점을 나타내는 꼭지점이 셋이다. 


    하나의 구역은 삼각형과 같이 하나의 각으로 이루어지며 꼭지점 셋을 가지므로 꼭지점 셋과 내부의 구역까지 네가지 색이 가작 작은 단위를 이룬다. 지도를 네 가지 색으로 칠할 수 있는 이유는 구역이 의사결정지점 셋을 가지기 때문이다. 합쳐서 넷이 되는 것이다.


    색으로 표시할 수 있는 내부가 닫혀 있는 구역은 모두 출발점과 도착점 진행점을 가지는 점에서 위상동형이다. 원이든 삼각형이든 사각형이든 백만각형이든 위상동형이다. 1각형은 점, 2각형은 선이다. 점과 선은 내부구역이 없다. 내부를 이루려면 안과 밖과 경계가 있어야 하므로 최소 3으로 이루어진다.


   원과 삼각형 이상의 모든 닫혀 있는 다각형은 안과 밖과 경계를 가지는 점에서 위상동형이다. 출발점과 반환점과 도착점이 있다.


[레벨:4]고향은

2021.11.29 (13:03:24)

사면四面의 합이 하나로 통합되면
사면체四面體가 되고, 사면체는 사면을 공유하여
소통을 용이하게 하고 편리하게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9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50
5632 구조론의 유래 2 김동렬 2019-12-13 3234
5631 진화론과 창조설의 사기 image 2 김동렬 2019-11-18 3236
5630 조국백서의 의미 2 김동렬 2020-08-12 3236
5629 인공지능 회의론 1 김동렬 2020-01-27 3238
5628 신과 나누는 이야기 김동렬 2022-03-15 3238
5627 노무현과 문재인의 운명 김동렬 2023-04-18 3238
5626 아베 총격범 야마가미 김동렬 2022-07-11 3239
5625 왜 왜가 문제냐? 2 김동렬 2020-07-22 3240
5624 구조와 대칭 김동렬 2021-04-15 3241
5623 이기는 법 김동렬 2021-02-15 3243
5622 전략균형론 1 김동렬 2020-12-06 3244
5621 대중의 선택적인 분노 image 김동렬 2021-03-24 3246
5620 동기는 거짓이다 김동렬 2021-03-28 3246
5619 질러야 한다. 1 김동렬 2020-08-05 3247
5618 에너지는 대칭과 호응이다 1 김동렬 2019-06-10 3248
5617 성선택설은 가짜다 2 김동렬 2020-03-20 3248
5616 체와 용의 관계 김동렬 2021-09-13 3248
5615 숙명여고 쌍둥이의 경우 1 김동렬 2020-07-19 3249
5614 방향성 찾기 1 김동렬 2019-10-16 3253
5613 토끼그림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20-04-29 3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