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03 vote 0 2021.11.18 (19:48:08)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인류의 지식획득 방법으로는 사건의 해석과 사물의 관찰이 있다. 형태가 있는 사물은 눈으로 관찰하면 되는데 형태가 없는 사건은 관측된 사실에 해석을 추가해야 한다. 문제는 방향의 충돌이다. 인간은 자연의 맞은 편에 서 있다. 거울의 상이 뒤집혀 보이듯이 거꾸로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관측으로 얻은 단편적인 사건의 조각들을 모아서 퍼즐을 맞추듯이 자연의 질서에 맞게 재구성해야 한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한다. 그것은 닫힌계 안에 축과 대칭의 밸런스를 만들고 축을 이동시켜 하나의 밸런스에서 다른 밸런스로 갈아타는 방법으로 내부의 에너지적 모순을 처리하는 것이다. 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닫힌계 내부에 대칭을 만들고 축을 움직여 의사결정한다. 사건의 해석은 자연의 의사결정구조를 복제하고 사물의 관찰로 얻은 단서를 플랫폼의 빈 칸에 채워넣는 방법을 써야 한다.


    구조론은 관측된 사실을 수학적으로 재구성한다. 그런데 방향이 다르다. 과학은 사물을 관찰하여 단서를 얻고, 수학은 단서를 조립하여 자연의 원래 모습과 일치시킨다. 관측자 중심으로 보면 거울처럼 뒤집어져 자연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므로 구조론이 바로잡는다. 자연의 변화를 되짚어 근원으로 다가서는 것이 수학이라면, 자연이 스스로 자신을 펼쳐내는 것은 구조론이다. 자연이 먼저 있고 인간이 목격한다. 구조론이 수학에 앞선다.


    사건이 존재의 본래모습이며 인간은 사건의 통짜덩어리 모습을 직접 볼 수 없고 추론을 거쳐야 한다. 사물의 관찰로 얻은 지식은 추론의 단서가 되는 부스러기들이다. 사건을 해석하려면 퍼즐을 맞추듯이 단서들을 조립하여 자연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그것이 수학이다. 거울에 비친 상은 다 맞는데 결정적으로 한 곳이 안 맞다. 자연의 존재와 인간의 인식은 거울처럼 반대편에서 마주보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 구조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041
5657 Re..옛날 의리의 김영배가 skynomad 2002-10-09 14722
5656 음모론 유감에 유감 김동렬 2005-12-27 14718
5655 "오마이뉴스는 왜 사과 안 하나?" 김동렬 2005-12-05 14714
5654 어차피 총대매는 거 뿐 무림거사 2002-10-10 14714
5653 제안 하나 (한겨레신문에 전단지 끼워 돌립시다) 아다리 2002-10-13 14713
5652 몰입과 쾌락의 상관관계 image 김동렬 2017-05-21 14712
5651 고, 강, 정, 유, 노 스타시스템이 뜬다. 김동렬 2004-03-17 14712
5650 유시민, 싸워야 한다 김동렬 2004-08-02 14711
5649 YS에게 빠다를 줘라! 김동렬 2003-05-14 14711
5648 여자가 남자보다 더 진화했다. image 김동렬 2017-08-18 14710
5647 노무현의 전략 image 김동렬 2004-03-28 14704
5646 강준만은 도를 닦아야 한다 김동렬 2005-04-21 14696
5645 여의도에서 만납시다 image 김동렬 2003-12-19 14696
5644 중국이 너무 싫다! 키쿠 2002-10-07 14696
5643 유시민, 기억상실증? 김동렬 2004-05-28 14691
5642 이 새끼들 잘 걸렸어 김동렬 2004-03-13 14682
5641 도박 권하는 사회 김동렬 2006-08-24 14681
5640 스크린 쿼터 문제에 대하여 김동렬 2006-01-27 14681
5639 Re..완전과 불완전의 차이아닐까요? 꿈꾸는 자유인 2002-10-04 14681
5638 전작권 환수 문제는 김동렬 2006-08-17 14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