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203 vote 0 2021.11.18 (19:48:08)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인류의 지식획득 방법으로는 사건의 해석과 사물의 관찰이 있다. 형태가 있는 사물은 눈으로 관찰하면 되는데 형태가 없는 사건은 관측된 사실에 해석을 추가해야 한다. 문제는 방향의 충돌이다. 인간은 자연의 맞은 편에 서 있다. 거울의 상이 뒤집혀 보이듯이 거꾸로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관측으로 얻은 단편적인 사건의 조각들을 모아서 퍼즐을 맞추듯이 자연의 질서에 맞게 재구성해야 한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한다. 그것은 닫힌계 안에 축과 대칭의 밸런스를 만들고 축을 이동시켜 하나의 밸런스에서 다른 밸런스로 갈아타는 방법으로 내부의 에너지적 모순을 처리하는 것이다. 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닫힌계 내부에 대칭을 만들고 축을 움직여 의사결정한다. 사건의 해석은 자연의 의사결정구조를 복제하고 사물의 관찰로 얻은 단서를 플랫폼의 빈 칸에 채워넣는 방법을 써야 한다.


    구조론은 관측된 사실을 수학적으로 재구성한다. 그런데 방향이 다르다. 과학은 사물을 관찰하여 단서를 얻고, 수학은 단서를 조립하여 자연의 원래 모습과 일치시킨다. 관측자 중심으로 보면 거울처럼 뒤집어져 자연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므로 구조론이 바로잡는다. 자연의 변화를 되짚어 근원으로 다가서는 것이 수학이라면, 자연이 스스로 자신을 펼쳐내는 것은 구조론이다. 자연이 먼저 있고 인간이 목격한다. 구조론이 수학에 앞선다.


    사건이 존재의 본래모습이며 인간은 사건의 통짜덩어리 모습을 직접 볼 수 없고 추론을 거쳐야 한다. 사물의 관찰로 얻은 지식은 추론의 단서가 되는 부스러기들이다. 사건을 해석하려면 퍼즐을 맞추듯이 단서들을 조립하여 자연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그것이 수학이다. 거울에 비친 상은 다 맞는데 결정적으로 한 곳이 안 맞다. 자연의 존재와 인간의 인식은 거울처럼 반대편에서 마주보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 구조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160 신의 입장 김동렬 2021-08-09 3280
1159 성교육의 문제 1 김동렬 2020-08-26 3280
1158 세상은 만남이다 1 김동렬 2019-12-02 3278
1157 대란대치 윤석열 1 김동렬 2024-05-16 3277
1156 열역학 1법칙과 2법칙 5분 정리 4 김동렬 2020-12-26 3277
1155 대통령의 자격 김동렬 2021-12-18 3276
1154 구조론은 언어감각이다 3 김동렬 2020-01-19 3276
1153 전광훈 문제 본질은 엘리트 길들이기 1 김동렬 2020-08-23 3275
1152 유체가 강체를 이긴다 김동렬 2021-10-25 3274
1151 제법무아 제행무상 파사현정 인연구조 김동렬 2021-02-17 3274
1150 구조론 입문 해설 김동렬 2020-10-29 3273
1149 과학계가 틀렸다 김동렬 2022-01-26 3272
1148 질 입자 힘 운동 량 김동렬 2021-10-31 3272
1147 언어와 관점과 사건 1 김동렬 2021-09-22 3272
1146 다르마와 메타인지 김동렬 2024-06-24 3271
1145 윤재앙 언제 끝나나? 김동렬 2022-09-23 3271
1144 신라가 흥한 이유 김동렬 2023-04-10 3270
1143 소수자가 이긴다 김동렬 2023-03-21 3270
1142 원인은 공간에 있다 3 김동렬 2021-05-10 3269
1141 신임을 잃었으면 물러나야 한다 1 김동렬 2024-05-06 3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