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79 vote 0 2021.11.18 (19:48:08)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인류의 지식획득 방법으로는 사건의 해석과 사물의 관찰이 있다. 형태가 있는 사물은 눈으로 관찰하면 되는데 형태가 없는 사건은 관측된 사실에 해석을 추가해야 한다. 문제는 방향의 충돌이다. 인간은 자연의 맞은 편에 서 있다. 거울의 상이 뒤집혀 보이듯이 거꾸로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관측으로 얻은 단편적인 사건의 조각들을 모아서 퍼즐을 맞추듯이 자연의 질서에 맞게 재구성해야 한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한다. 그것은 닫힌계 안에 축과 대칭의 밸런스를 만들고 축을 이동시켜 하나의 밸런스에서 다른 밸런스로 갈아타는 방법으로 내부의 에너지적 모순을 처리하는 것이다. 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닫힌계 내부에 대칭을 만들고 축을 움직여 의사결정한다. 사건의 해석은 자연의 의사결정구조를 복제하고 사물의 관찰로 얻은 단서를 플랫폼의 빈 칸에 채워넣는 방법을 써야 한다.


    구조론은 관측된 사실을 수학적으로 재구성한다. 그런데 방향이 다르다. 과학은 사물을 관찰하여 단서를 얻고, 수학은 단서를 조립하여 자연의 원래 모습과 일치시킨다. 관측자 중심으로 보면 거울처럼 뒤집어져 자연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므로 구조론이 바로잡는다. 자연의 변화를 되짚어 근원으로 다가서는 것이 수학이라면, 자연이 스스로 자신을 펼쳐내는 것은 구조론이다. 자연이 먼저 있고 인간이 목격한다. 구조론이 수학에 앞선다.


    사건이 존재의 본래모습이며 인간은 사건의 통짜덩어리 모습을 직접 볼 수 없고 추론을 거쳐야 한다. 사물의 관찰로 얻은 지식은 추론의 단서가 되는 부스러기들이다. 사건을 해석하려면 퍼즐을 맞추듯이 단서들을 조립하여 자연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그것이 수학이다. 거울에 비친 상은 다 맞는데 결정적으로 한 곳이 안 맞다. 자연의 존재와 인간의 인식은 거울처럼 반대편에서 마주보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 구조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02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984
1013 호남표만 얻으면 되는데 뭘 걱정이래유? 김동렬 2002-11-23 15238
1012 유시민 강금실이 정답 김동렬 2005-05-03 15240
1011 강금실대통령 희망있다 image 김동렬 2003-10-24 15242
1010 밥버러지 이강철 김동렬 2006-03-29 15244
1009 한국인 중 몇 프로가 깨어있을까? image 김동렬 2003-05-25 15247
1008 이 사람들을 어찌해야.. 탱글탱글 2002-12-01 15257
1007 김홍신의원의 엉거주춤 image 김동렬 2003-07-09 15258
1006 해도 너무하는 성명서 정치 김동렬 2003-06-25 15263
1005 이회창 신입의 입방을 환영한다. image 김동렬 2003-12-15 15264
1004 긴급분석 - 후단협 탈당사태 image 김동렬 2002-11-01 15266
1003 조선, 박근혜를 치다 김동렬 2005-10-18 15266
1002 존재냐 소유냐 김동렬 2006-07-06 15266
1001 스펙 좋은 여자의 농담 3 김동렬 2009-01-27 15266
1000 아직도 노무현은 단일 후보다 황인채 2002-12-19 15267
999 추미애의원이 당선되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3-11-09 15267
998 손호철, 임지현, 문부식, 진중권들의 문제 김동렬 2003-05-26 15270
997 국민을 야단칠 수 있는 지도자가 나와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3-04-29 15273
996 30억 짜리 소송은 왜 하누? image 김동렬 2003-08-14 15273
995 정대철 김동렬 2003-07-25 15274
994 깨달음은 미학이다 김동렬 2008-11-13 15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