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45 vote 0 2021.11.17 (15:34:26)

    유체가 힘을 한 지점에 몰아주는 비대칭을 얻으려면 대칭적이어야 한다. 만약 9 대 1이라면 어떨까? 1이 다친다. 9가 살짝 움직였는데도 1이 튕겨나간다. 미녀와 야수를 떠올릴 수 있다. 야수의 발톱에 미녀가 다친다. 드라마는 야수에게 핸디캡을 줘서 50 대 50으로 팽팽하게 만든다. 손오공은 머리에 긴고아를 차서 삼장법사에 굴복하게 된다. 밸런스를 맞추지 않으면 이야기가 안 된다. 삼장이 손오공에게 두들겨 맞는 수가 있다. 대칭은 비대칭을 끌어내는 절차에 불과한 것이며 세상은 결국 한 방향으로 간다. 보통은 진보와 보수, 선과 악, 빛과 어둠,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두 방향으로 설명되지만 실제로는 한 방향이다. 활과 시위는 반대방향으로 당겨지지만 화살은 한 방향으로 날아간다. 두 방향으로 대칭시키지 않으면 구조가 깨져서 자원을 십분 동원할 수 없다. 모든 대칭은 비대칭으로 틀기 앞서 잠정적인 조치다. 세상은 결국 진보한다. 보수는 진보하기 전에 힘을 비축하는 것이다.


    화살은 머리와 꼬리가 있지만 실제로 적을 때리는 것은 머리다. 대칭은 비대칭을 조직하는 절차다. 대칭은 마주보지만 비대칭은 한 방향을 바라본다. 사건의 출발점과 진행과정과 도착점이 있다. 원인과 경과와 결과가 있다. 활은 출발점, 화살은 진행과정, 과녁은 도착점이다. 사물은 사건의 도착점이다. 사건의 원인이 의사결정의 경과를 거쳐 사물에 도착한다. 명사는 동사의 도착점이다. 언어는 주어로 출발하고 동사의 의사결정을 거쳐 목적어에 도착한다. 원인과 결과만 보면 세상은 대칭이지만 원인과 경과와 결과 셋으로 나누어 보면 비대칭이다.


    우리는 사건을 시간의 인과율로 좁게 해석한다, 공간의 인과율로 넓게 봐야 한다.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담을 수 없다는게 공간의 인과율이다. 대부분의 오류는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우겨넣겠다며 끙끙대는 것이다. 그러다가 그릇을 깨먹는게 보통이다. 대칭의 상대성을 비대칭의 절대성으로 이해하는 눈을 얻어야 한다. 공은 어느 방향이든 갈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을 차는 순간 머리와 꼬리가 결정되며 순방향과 역방향이 구분되어 앞으로 가고 뒤로 못 간다. 회전을 걸어서 바나나 킥을 차기도 하지만 공이 뒤로 간다고 말하는건 말장난에 불과하다. 투수가 공을 던져도 종속이 초속보다 빨라지는 일은 없다. 대칭의 상대성은 말을 헷갈리게 하는 것이고 우주는 비대칭의 절대성에 지배된다. 단 중간에 반드시 대칭을 거쳐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32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25
5666 구조론의 희망과 낙관주의 1 김동렬 2019-08-20 3157
5665 커플은 솔로를 이긴다 1 김동렬 2019-06-20 3158
5664 성선설과 성악설 김동렬 2021-03-15 3159
5663 매끄러운 우주론 1 김동렬 2019-08-30 3160
5662 존재의 근원 image 6 김동렬 2020-04-26 3163
5661 구조론은 사건의 플랫폼이다. 4 김동렬 2018-12-09 3165
5660 한국인이 잘해야 한다 김동렬 2022-11-05 3165
5659 서경덕 문화쇄국주의 문화적 집단자살 김동렬 2023-03-26 3165
5658 세상은 하나다 3 김동렬 2019-12-08 3167
5657 구조론적 세계관 2 김동렬 2021-02-11 3167
5656 언어의 시작 1 김동렬 2020-01-07 3168
5655 촘스키의 타락 11 김동렬 2022-04-18 3168
5654 노무현과 윤석열 김동렬 2022-09-21 3169
5653 경제의 근본 image 2 김동렬 2020-01-08 3170
5652 무한의 문제 김동렬 2021-07-10 3174
5651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2 김동렬 2019-12-02 3175
5650 본질과 현상 그리고 만남 1 김동렬 2019-12-06 3175
5649 나쁜 상황이 나쁜 결정을 만든다 김동렬 2021-04-17 3175
5648 죽음은 없다 1 김동렬 2021-09-07 3175
5647 이재명 윤석열 김동렬 2022-01-02 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