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58 vote 0 2021.11.17 (11:43:04)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는 균형과 그 변화 때문이다. 어떤 대상을 가리키려면 손가락 하나로 충분하다. 집게손가락의 역할이다. 물체를 잡으려면 둘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로 동전을 집을 수 있다. 잡은 채로 힘을 가하려면 손가락 셋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 중지 셋으로 드라이버를 돌릴 수 있다. 움직임에 대응하려면 손가락 넷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와 중지와 무명지까지 네 손가락을 사용하면 네 방향을 막아서 물고기도 잡을 수 있다. 미세한 조절을 하려면 새끼손가락까지 다섯이 필요하다.


    손가락 다섯이 각각 질, 입자, 힘, 운동, 량을 담당한다.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하고, 힘은 교섭하고, 운동은 변화하고, 량은 침투한다. 질은 하나의 닫힌계를 형성하여 하나의 사건을 촉발하므로 손가락이 하나여야 하고, 입자는 독립하여 둘로 나눠지므로 손가락 두 개로 대응하고, 힘은 대칭과 축을 만들어야 하므로 셋이고, 운동은 축의 이동을 반영하여 넷이고, 량은 손가락 넷으로 천칭을 만든 상태에서 눈금의 위치를 조절하므로 다섯이 필요하다. 손가락 셋으로 축과 대칭을 갖추어 천칭저울을 만든 다음 한쪽에 추를 올리고 반대쪽에 물체를 올리므로 다섯이 된다.


    구조론은 A와 B가 서로 맞물려 돌아갈 때 양자를 통일하는 C의 변화다. A와 B가 천칭의 두 접시라면 A의 변화와 B의 변화는 접시에 올려지는 추와 물체다. C가 눈금이 된다. 우리가 손으로 물체를 만질 때 손가락을 천칭으로 만들어 저울이 물체를 계량하듯이 끊임없이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손에 쥔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 변하면 손가락이 맞대응을 한다. 다섯 손가락 중에 하나만 부족해도 정밀한 동작이 힘들어진다. 로봇이 쉽게 달걀을 잡지 못하는 이유는 손이 저울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의 각도를 잘못 지정하기 때문이다.


    의자의 다리는 최소 셋이 되어야 한다. 거기에 지구의 중력과 물체의 질량이 더해져 다섯이다. 의자는 앉는 좌석과 다리 셋으로 넷이지만 지구가 밑에서 받치고 있으므로 다섯이다. 역시 천칭을 이루고 있다. 어떤 둘 사이에는 반드시 보이지 않는 셋이 있다. 남녀가 둘이 만나도 두 변에 자식과 부모와 동료가 있다. 그중에 하나라도 없으면 오래가지 못한다. 결손가정이라도 국가나 이웃이 그 빠진 역할을 대신해주기 때문에 사회가 돌아가는 것이다. 천칭의 구조를 갖추어야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그냥 돌멩이라고 해도 무게중심이 있고 대칭이 있어야 구를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독립하지 못하고 다른 곳에 빌붙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6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83
1052 세상은 존재하는가? 김동렬 2021-01-31 3040
1051 유전자를 남기기 위하여는 거짓이다 김동렬 2021-03-17 3039
1050 윤석열이 버티는 이유 김동렬 2023-08-09 3037
1049 구조론은 언어감각이다 3 김동렬 2020-01-19 3037
1048 상호작용에 답이 있다 김동렬 2021-09-13 3035
1047 대칭성의 이해 2 김동렬 2020-02-20 3035
1046 방향성으로 모두 설명한다 1 김동렬 2019-12-17 3035
1045 인간은 명령하는 동물이다 김동렬 2021-07-04 3034
1044 자유에는 방향이 있다 김동렬 2021-01-10 3034
1043 사색정리 image 1 김동렬 2021-11-28 3033
1042 기본구조 김동렬 2021-11-03 3033
1041 폭군 윤석열 김동렬 2023-04-26 3032
1040 그림의 실패 image 김동렬 2022-02-17 3032
1039 대중의 권력화가 문제다 1 김동렬 2019-12-23 3030
1038 공간에서의 이동 1 김동렬 2019-10-04 3029
1037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1 김동렬 2019-08-26 3028
1036 통제가능성으로 사유하기 4 김동렬 2020-02-19 3027
1035 세상은 변화다 1 김동렬 2019-09-24 3026
1034 사건의 정의 1 김동렬 2019-11-14 3025
1033 방향성의 깨달음 김동렬 2021-10-19 3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