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read 2395 vote 1 2021.11.08 (10:10:32)

어젯 밤 평창에서 집으로 차몰고 오는데 역시나 이천의 호법 분기점 부근에서 용인 양지까지 19km가 막힌다. 영동고속도로와중부고속도로 합류지점이니 이해도 간다.
쫄쫄쫄 정체구간을 갈 생각을 하니 좀 갑갑증이 몰려온다. 어쩌면 좋을까? 마침 네비 언니가 우회도로를 알려준다. 무려 15분이나 빠른 길이네. 진출입로가 몇 백 미터 안남았지만 1차선에서 살살 차선 변경해서 겨우 중부 고속도로로 접어들어서 이천의 국도로 우회를 했다. 신호대기중 확인해보니 덕평ic로 들어간다. 잘 되었다 싶었다. 도착 시간도 십 몇 분 줄어들었으니.
어라, 그런데 중간에 한 국도의 삼거리에서 신호대기를 3~4번 받고, 덕평 ic진입 삼거리에서 그만큼 신호를 받으니 결국 도착 시각이 마이너스 15에서 제로가 되었다. 옆에 있던 아내 말대로 하면 도리어 1~2분 늘었단다.
결국 우회하면서 시간은 못줄이고 기름값만 손해니 아내는 괜히 나갔다며 투덜투덜.

음.. 그런데 과연 그럴까? 우회도로로 운전하며 새로운 루트를 알게 되었다. 고속도로 쫄쫄쫄 보다는 우회로가 지루함이 덜했다. 만약 아까 이 길로 안오고 정체된 원래 길로 갔다면 우회도로로 못나간 걸 아쉬워했을 거다. 앞으로 비슷한 시간에 우회도로 감속 메시지가 떠도 우회하진 않을 거다. 딱 떠올려봐도 장점이 4가지나 된다.

교직도 이와 비슷하다. 샘들은 결과가 안좋으면 괜히 했다고 후회를 한다. 그냥 후회만 하면 다행인데, 주로 반 애들과 감정 싸움으로 이어져서 뒤끝도 안좋다. 너무 위험하지만 않으면 새로운 시도는 언제나 옳다. 실패는 없고 실전 데이터가 쌓인다. 실패한 만큼 나중에 성공의 확률도 올라간다. 부족한 부분은 원인을 분석해서 보완하면 된다. 교육의 방향만 맞다면 그리 걱정할 것이 못된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결과만 보고 판단한다. 교육의 아버지라는 페스탈로찌를 보라. 그는 늘 실패만 했다. 그가 산 시대야 말로 격동과 혼란 그 자체였다. 성공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 정상이다. 한 인간 자신의 교육에 대한 성공과 실패를 논하는 것은 그 당시로서는 알 수가 없다. 지나고 나야 성공인지 아닌지 어렴풋이 알 수가 있다. 교육은 지금 현재가 가장 중요하나, 교육은 큰 흐름이 있고 그 효과와 부작용이 나오는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인간 자체의 변화와 성장의 그러하다. 교육백년지대계의 마음으로 일희일비하지 않고 긴 안목을 갖고 지금 최선을 다하는 것이 모든 교육자가 할 일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45
2108 스타벅스는 커피를 팔지 않는다 image 3 냥모 2013-02-11 9923
2107 고수와 하수 김동렬 2006-03-02 9912
2106 삼국지의 비애 image 3 김동렬 2014-10-02 9881
2105 직업이란 무엇인가 - 허무한 스펙 쌓기에 빠지지 마시라 2 ░담 2010-08-27 9838
2104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image 12 김동렬 2013-11-24 9815
2103 남북전쟁이 일어난 이유 image 4 김동렬 2013-03-28 9805
2102 후성유전학: 유전자가 변화한다고라? 2 오세 2009-12-07 9760
2101 타짜 아니면 호구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16 9695
2100 질문 - 마찰열에 의해 불이 붙는 이유는? 10 김동렬 2013-01-27 9689
2099 이중구속, 엄마의 의도는? 22 김동렬 2013-09-08 9609
2098 아랍어는 왜 거꾸로 쓸까? image 김동렬 2016-04-21 9595
2097 돈과 시간의 방정식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3-12 9509
2096 카스트 제도 비극의 원인은? 22 김동렬 2013-08-04 9497
2095 중력에 대한 새로운 이론 image 7 김동렬 2010-07-14 9495
2094 혈액형별 유명 운동선수 비율 image 4 김동렬 2012-04-03 9472
2093 화내는 습관 고쳐질까? 24 김동렬 2013-10-30 9381
2092 의견을 구하오. image 52 김동렬 2013-02-03 9334
2091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송파노을 2006-03-01 9277
2090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강도 2006-05-17 9260
2089 굿을 어떻게 이해할수 있을까요? 1 프로메테우스 2006-03-19 9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