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04 vote 0 2021.10.07 (11:09:05)

    세상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니 세상이라는 집을 짓는 뼈대가 된다. 구조는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은 사건 속에서 일어난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명하는 이론이다. 일찍이 사물에 대한 관점은 있었어도 사건에 대한 관점은 없었다. 사건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의사결정은 닫힌계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고 축을 이동시켜 또다른 대칭을 만드는 형태로 일어난다. 사건에는 공간의 방향과 시간의 순서가 있으니 질서가 된다. 사건에는 질서가 있으므로 우리는 사건의 다음 단계를 내다볼 수 있다.


    자연이 먼저 있었고 인간이 나중 왔으며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에서 변화가 일어났고 인간의 지식은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변화를 어떻게 추적할 것인가? 변화는 움직이고 움직임을 따라잡는 과정에 관점의 이동이 일어난다. 주체의 관점과 객체의 관점이 있다. 보통은 객체의 변화를 추적하지만 주체도 변한다는게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다. 불변의 잣대로 변화를 계측할 수 있다. 사물이 궁극적인 단계에서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이 원자론이고 그것도 변하더라는게 양자역학이다. 사물은 변하지만 그 사물을 태우고 가는 사건의 구조는 변하지 않는다. 사건의 질서야 말로 우리가 의지해야할 불변의 절대진리다.


    영어 truth는 단순히 참인 진술을 뜻하지만 우리말 진리는 절대적이고 유일하고 불변하며 의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심오하다. 사물에는 그것이 없지만 사건에는 그것이 있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사건의 연결고리를 장악하고 통제할 수 있다. 하나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일만 개의 가로등을 켜고 끌 수 있다. 산의 정상처럼 뾰족한 그것은 있다. 그것을 표현하기에는 인간의 언어가 부족하다. 언어를 탓해야지 진리를 탓하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216
1086 엘리트의 생존법 김동렬 2022-09-28 2945
1085 과학계가 틀렸다 김동렬 2022-01-26 2945
1084 구조론 입문 해설 김동렬 2020-10-29 2945
1083 당신은 교육되었는가? 1 김동렬 2020-04-30 2945
1082 엔트로피의 이해 1 김동렬 2023-02-17 2944
1081 진리의 의미 1 김동렬 2021-09-20 2943
1080 전광훈 문제 본질은 엘리트 길들이기 1 김동렬 2020-08-23 2940
1079 유전자를 남기기 위하여는 거짓이다 김동렬 2021-03-17 2939
1078 구조론 1 김동렬 2021-04-23 2938
1077 전두환은 대통령 된 적이 없다 김동렬 2021-11-24 2937
1076 세상은 만남이다 1 김동렬 2019-12-02 2933
1075 위하여냐 의하여냐 4 김동렬 2021-05-15 2932
1074 진보는 표면에서 일어난다 1 김동렬 2019-11-21 2932
1073 삼위일체의 본질 2 김동렬 2020-03-27 2931
1072 구조론사람의 자격 1 김동렬 2019-12-05 2930
1071 대칭성의 이해 2 김동렬 2020-02-20 2928
1070 한일관계를 보는 시선 2 김동렬 2023-03-16 2927
1069 구조론은 언어감각이다 3 김동렬 2020-01-19 2927
1068 회원가입 및 등업요건 변경안내 4 김동렬 2020-05-11 2927
1067 사냥꾼의 관점 김동렬 2023-07-06 2926